섀도 어 슬롯 강화 약사전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유적
약사여래를 모시는 전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섀도 어 슬롯 강화전은 섀도 어 슬롯 강화여래를 모시는 전각이다. 섀도 어 슬롯 강화여래는 중생의 병을 고쳐 주는 부처님이며 보통 왼손에 약합을 들고 있다. 또한 섀도 어 슬롯 강화여래는 동방정유리세계의 부처님이다. 세 분의 부처가 나란히 서 있을 경우 동쪽의 부처님이 섀도 어 슬롯 강화여래다.

목차
정의
약사여래를 모시는 전각.
내용

섀도 어 슬롯 강화여래는 보통 동방의 부처님을 말한다. 당우 내에는 섀도 어 슬롯 강화여래를 중심으로 좌우에 일광보살(日光菩薩)과 월광보살(月光菩薩)을 주1로 봉안한다. 섀도 어 슬롯 강화여래는 대의왕불(大醫王佛)이라고 하는데, 주2에 거주하면서 모든 중생의 질병을 치료하고 주3를 소멸시키며 원만행(圓滿行)을 닦게끔 하여 주4주5주6 하는 부처이다. 지금의 ‘의사와 섀도 어 슬롯 강화’에서의 ‘섀도 어 슬롯 강화’도 섀도 어 슬롯 강화여래에서 온 말이다.

섀도 어 슬롯 강화여래는주7주8이라는 이름의 보살로 수행하면서 중생의 아픔과 슬픔을 소멸시킨다는 십이 주9을 내어 그 공덕으로 부처가 되었으며, 중생의 한량없는 고통을 없애 준다고 한다. 그의 이름을 외우고 가호(加護)를 빌면 모든 재액이 소멸되고 질병이 낫게 된다는 섀도 어 슬롯 강화신앙은 일반 민중들 사이에서 강한 설득력과 호소력을 가진 것이었다. 그리하여 고대 우리나라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신앙 형태가 되어 대부분의 사찰에 섀도 어 슬롯 강화전이 건립되었다.

백제시대에 조성된태안 마애삼존불에서 약합을 들고 있는 왼쪽 부처를 가장 오래된 섀도 어 슬롯 강화여래상으로 보기도 한다. 법당 내의 섀도 어 슬롯 강화여래상은 보통 주10을 취한수인(手印) 위에 약합을 놓고 있는 경우가 많다. 주11로는 섀도 어 슬롯 강화여래의 정토인 동방섀도 어 슬롯 강화유리광회상도(東方藥師瑠璃光會上圖)가 봉안된다. 원래 이 탱화에는 섀도 어 슬롯 강화삼존불과 호법신장(護法神將)인 12신장을 함께 묘사하나, 우리나라 섀도 어 슬롯 강화전의 후불탱화는 호법신사천왕(四天王) 등으로 구성하고 있다.

섀도 어 슬롯 강화전의 내부는 대웅전과 같이 주12을 만들고, 천장은우물천장으로 조성한다. 주위에는 돌아가면서 연꽃과 주13 등을 묘사하게 된다. 대표적인 국가유산으로는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에 있는 전등사 섀도 어 슬롯 강화전과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에 있는 송광사 섀도 어 슬롯 강화전을 들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문명대, 『(섀도 어 슬롯 강화의 불상 조각)광불과 고졸미』 1 (예경, 2003)
섀도 어 슬롯 강화불교연구원, 『(韓國의 寺刹)通度寺』 4 (일지사, 1974)
홍윤식, 『섀도 어 슬롯 강화불화연구(韓國佛畵硏究)』 (원광대학교출판부, 1980)

논문

성윤길,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에 대하여」 (『섀도 어 슬롯 강화고대사탐구』 21, 2015)
주석
주1

좌우에서 가까이 모심. 또는 그런 사람. 우리말샘

주2

섀도 어 슬롯 강화여래가 다스리는 동방에 있는 정토(淨土). 우리말샘

주3

재앙(災殃)과 화난(禍難)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4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부처의 깨달음. 우리말샘

주5

보리, 열반과 같은 아주 뛰어나고 훌륭한 결과. 우리말샘

주6

바른 지혜로써 진리를 깨달아 얻다. 우리말샘

주7

이 세상에 태어나기 이전의 생애. 우리말샘

주8

중생에게 좋은 약을 주어 몸과 마음의 병고를 덜어 주고 고쳐 주는 보살. 우리말샘

주9

섀도 어 슬롯 강화여래가 수행할 때 세운 열두 가지 서원(誓願). 모든 사람에게 광명이 넘치고 모습이 원만하고, 모든 일이 생각대로 되며, 한없이 베풀고, 외도를 믿는 자는 불도로, 소승은 대승으로 이끌어 들이고, 청정한 수행을 하는 이가 삼취 정계(三聚淨戒)를 갖추며, 육체의 불구자들을 완전케 하고, 온갖 병을 없애고, 남자 몸을 받아 성불하며, 정견(正見)에 안립(安立)하고, 중생이 재난에서 벗어나며, 음식이 넉넉하고 불법을 들어 안락한 상태에 있으며, 가난한 이가 아름다운 옷 얻기를 바라는 것이다. 우리말샘

주10

부처가 선정에 들었음을 상징하는 인상(印相). 결가부좌한 불상에서 볼 수 있다. 우리말샘

주11

불상 뒤에 모시는 탱화. 우리말샘

주12

궁전 안의 옥좌 위나 법당의 불좌 위에 만들어 다는 집 모형. 우리말샘

주13

하늘을 날아다니며 하계 사람과 왕래한다는 여자 선인(仙人). 머리에 화만(華鬘)을 쓰고 몸에는 깃옷을 입고 있으며, 음악을 좋아한다고 한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섀도 어 슬롯 강화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섀도 어 슬롯 강화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