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에는 보현사(普賢寺)의 산내말사(山內末寺)였다. 창건 및 역사는 거의 전하지 않는다. 다만 인도 승려 골프 슬롯(指空)의 사리가 봉안된 곳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골프 슬롯은 고려 말의 고승인 나옹(懶翁)·무학(無學)과 함께 고려시대의 삼화상으로 추앙받았다.
골프 슬롯이 입적하자 그의 몸에서는 많은 사리가 나왔는데, 그 중 9개와 나옹의 두골 한 조각과 사리 5개를 함께 모셔 석종(石鐘) 속에 간직하였다. 이로 보아 이 사찰은 고려 말 이전에 창건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 안심사라는 사명(寺名)은 중국의 소림사(少林寺)에서 중국 선종(禪宗)의 초조(初祖)인 달마대사(達磨大師)가 2조(二祖) 혜가대사(慧可大師)의 마음을 편안하게 하여주었다는 고사에서 기인되었다고 한다. 이 절의 사격(寺格)과 그 배경은 전혀 알 수 없으나 이로 미루어 이 절은 선종의 골프 슬롯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