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tg 슬롯[唱]·발림[科]과 더불어rtg 슬롯 공연요소 가운데 하나이다. 옛 소리책, 즉 rtg 슬롯 창본(唱本)에 보면, 장자백(張子伯) 「춘향가」 창본의 경우와 같이 ‘말로’라고 적은 것도 있고, 정광수(丁珖秀)의 『전통문화오가사전집(傳統文化五歌辭全集)』의 경우와 같이 ‘rtg 슬롯리’로 적은 것도 있어 일정하지 않으나, 이선유(李善有)의『오가전집(五歌全集)』의 경우와 같이 ‘rtg 슬롯리’로 적은 경우가 많다.
rtg 슬롯리의 본디 말뜻은 아직 분명히 밝혀진 바 없다. 『전통문화오가사전집』에는 한자로 ‘案意裏(안의리)’로 적어 ‘속뜻을 알려준다’는 뜻으로 풀이하였으나 통설은 rtg 슬롯다.
rtg 슬롯의 아니리는 소리의 내용을 서술하는 경우와, 말로 대사연기하는 경우가 있다. 내용을 서술할 경우에는 반드시 ‘어찌어찌하것다’, ‘하였것다’ 하고 하대를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것은 광대가 관중에게 서술하는 것이 rtg 슬롯고, 고수(鼓手)에게 서술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rtg 슬롯리 가운데 어떤 부분을 ‘도섭’이라 하여 자유리듬으로 선율에 얹어 부르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소리조 rtg 슬롯리’ 또는 ‘창조 rtg 슬롯리’라 부르고, 말로 하는 rtg 슬롯리를 ‘말조 rtg 슬롯리’라고 구별하여 쓰기도 한다.
rtg 슬롯리는 일정한 장단에 리듬이 얽매이는 것이 rtg 슬롯기 때문에, rtg 슬롯리 사설의 자수율은 소리 사설의 경우보다 자유스러운 경우가 많다. 그리고 장단에 얹어 소리하다가 말로 하는 경우에는 rtg 슬롯리라 하지 않는다.
아니리 말버슴새[抑揚]는 일상 대화로 쓰는 말버슴새와 달리 약간 낭송조 같이 양식화되어 있다. 따라서 rtg 슬롯는 광대 특유의 아니리 말버슴새가 정해져 있다. 일제강점기에 신파조로 기울어진 아니리를 쓰는 명창도 있었고, 근대에는 서양 사실주의 대사연기의 영향을 받은 명창도 있지만, 아직도 전통적인 rtg 슬롯 아니리 말버슴새를 구사하는 명창이 많다.
rtg 슬롯 명창에는 목이 좋고 소리 양이 뛰어나 소리에 주력하는 명창을 ‘소리광대’라 이르는 데 견주어, 재담 잘하고 연기력이 뛰어나 아니리에 주력하는 명창을 ‘아니리광대’라 이른다. 흔히 아니리광대보다 소리광대를 높이 치고 있으나, rtg 슬롯 명창은 아니리에도 능해야 하는 것으로 치고 있다.
신재효(申在孝)는 그의「광대가」에서 rtg 슬롯리의 중요성을 두고 “안일리 ᄍᆞ는 마리 아릿다운 졔비말과 공교로운 ᄋᆡᆼ무쇼ᄅᆡ”라 하여, rtg 슬롯리 내용도 잘 짜여 있어야 하지만 rtg 슬롯리 연기법도 아름답고 공력있고 교묘하여야 한다고 그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
아니리가 이렇게 중요한 것인데도 rtg 슬롯 변천과정을 더듬어보면 아니리를 점점 경시하는 쪽으로 변화되었다. 이에 대한 반동으로 1960년대 말부터 박동진(朴東鎭)은 아니리를 많이 구사하는 rtg 슬롯를 복원하여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