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분권 2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자와 필사연대를 알 수 없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에 있다.
1책에 시 333수, 2책에 제(題) 5편, 제문 10편, 서(序) 1편, 기(記) 7편, 논(論)·지(誌)·책(策) 각 1편, 애사 8편, 묘지명·발(跋)·전(傳) 각 1편 등이 편차 없이 수록되어 있다.
「사안절극치론(謝安折屐齒論)」은 증광시초시(增廣試初試) 카 심바 슬롯 과제(課題)이며, 「개언로책(開言路策)」은 성균관의 과제로, 언로의 막힘을 고황(膏肓)에 비유, 논술하고 국가의 흥망이 언로개폐에 달려 있음을 강조한 것이다.
「고려지신사신공전(高麗知申事申公傳)」은 고려 공양왕 카 심바 슬롯 도승지 신공(申公)에 관한 전기이다. 그는 공양왕으로부터 태조에게 국보를 전해주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이를 어기고 땅에 버려 국보의 한 귀퉁이를 깨뜨린 일이 있었으며, 태조가 등극한 뒤 전리판서(典理判書)에 임명하였으나 응하지 않고 평산(平山)에 들어가 은거하였다. 그 때 깨어진 국보는 태조가 금(金)으로 때워 상서원에 보존하게 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분실되었다고 한다. 죽은 뒤 태조로부터 사간(思簡)이라는 시호를 받았는데, 저자는 이러한 인물이 『고려사』에 전(傳)으로 취급되지 않았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밖에도 「북벽기(北壁記)」·「남굴기(南窟記)」·「제김장군수서첩후(題金將軍手書帖後)」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