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우도는 불교의 선종에서, 본성을 찾는 것을 소를 찾는 것에 비유하여 그린 선화이다. 선의 수행단계를 소와 동자에 비유하여 도해한 그림으로, 수행단계를 10단계로 하고 있어 십우도라고도 한다. 중국 송나라 때 만들어진 보명의 십우도와 곽암의 십우도 등 두 종류가 우리나라에 전래되었다. 보명의 것은 소를 길들인다는 뜻에서 목우도라고 한 반면, 곽암의 것은 소를 찾는 것을 열 가지로 슈 의 슬롯 머신했다고 하여 심우도라 하여 차이를 보인다. 조선시대까지는 두 가지가 함께 그려졌으나 최근에는 우리나라의 사찰 법당 벽화로 곽암의 심우도가 주로 그려진다.
선의 수행단계를 소와 동자에 비유하여 도해한 그림으로, 수행단계를 10단계로 하고 있어 십우도(十牛圖)라고도 한다. 중국 송나라 때 만들어진 보명(普明)의 십우도와 곽암(廓庵)의 십우도 등 두 종류가 우리나라에 전래되었다. 조선시대까지는 이 두 가지가 함께 그려졌으나 최근에는 대체로 곽암의 것을 많이 그리고 있으며, 주로 사찰의 법당 벽화로 많이 슈 의 슬롯 머신되고 있다. 중국의 경우에는 십우도 대신에 말을 슈 의 슬롯 머신한 십마도(十馬圖)를 그린 경우도 있고, 티베트에서는 코끼리를 슈 의 슬롯 머신한 십상도(十象圖)가 전해져 오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그리고 보명의 것은 소를 길들인다는 뜻에서 목우도(牧牛圖)라고 한 반면, 곽암의 것은 소를 찾는 것을 열 가지로 슈 의 슬롯 머신했다고 하여 심우도라고 한 점에서도 차이가 있다. 그리고 보명의 것에서는 마지막 열번째의 그림에만 원상(圓相)을 슈 의 슬롯 머신하고 있는 데 대하여 곽암의 것은 처음부터 마지막까지의 모든 단계를 원상 안에 슈 의 슬롯 머신한 점이 다르다. 이 두 가지의 제목을 비교하면 〈표〉와 같다.
그림순서 | 슈 의 슬롯 머신의 목우도 | 곽암의 슈 의 슬롯 머신도 |
---|---|---|
1 | 未牧 | 尋牛 |
2 | 初調 | 見跡 |
3 | 受制 | 見牛 |
4 | 廻首 | 得牛 |
5 | 馴伏 | 牧牛 |
6 | 無碍 | 騎牛歸家 |
7 | 住運 | 忘牛存人 |
8 | 相忘 | 人牛俱忘 |
9 | 獨照 | 返本還源 |
10 | 雙泯 | 入廛垂手 |
〈표〉 보명 · 곽암의 슈 의 슬롯 머신도 제목비교 |
이 슈 의 슬롯 머신도의 대체적인 내용은 처음 선을 닦게 된 동자가 본성이라는 소를 찾기 위해서 산중을 헤매다가 마침내 도를 깨닫게 되고 최후에는 선종의 최고 이상향에 이르게 됨을 나타내고 있다. 곽암의 슈 의 슬롯 머신도를 각 단계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① 심우(尋牛)는 소를 찾는 동자가 망과 고삐를 들고 산속을 헤매는 모습으로 슈 의 슬롯 머신된다. 이것은 처음 발심한 수행자가 아직은 선이 무엇이고 본성이 무엇인가를 알지 못하지만 그것을 찾겠다는 열의로써 공부에 임하는 것을 상징한 것이다.
② 견적(見跡)은 소 발자국을 발견한 것을 슈 의 슬롯 머신한 것으로, 순수한 열의를 가지고 꾸준히 공부를 하다 보면 본성의 자취를 어렴풋이나마 느끼게 된다는 것을 소의 발자국으로 상징한 것이다.
③ 견우(見牛)는 동자가 멀리서 소를 발견하는 모습으로 슈 의 슬롯 머신된다. 이는 본성을 보는 것이 눈앞에 다다랐음을 상징하고 있다.
④ 득우(得牛)는 동자가 소를 붙잡아서 막 고삐를 낀 모습으로 슈 의 슬롯 머신된다. 이 경지를 선종에서는 주1이라고도 하는데, 마치 땅속에서 아직 제련되지 않은 금돌을 막 찾아낸 것과 같은 상태라고 많이 표현된다. 실제로 이때의 소는 검은색을 띤 사나운 모습으로 슈 의 슬롯 머신되는데, 아직 삼독(三毒: 탐내고 성내고 어리석은 마음)에 물들어 있는 거친 본성이라는 뜻에서 검은색을 소의 빛깔로 표현한 것이다.
⑤ 목우(牧牛)는 거친 소를 자연스럽게 놓아두더라도 저절로 가야 할 길을 갈 수 있게끔 길들이는 모습으로 슈 의 슬롯 머신된다. 삼독의 때를 지우는 보임(保任: 깨달은 것을 더욱 갈고 닦음)의 단계로, 선에서는 이 목우의 과정을 가장 중요시하고 있는데, 그 까닭은 한번 유순하게 길들이기 전에 달아나 버리면 그 소를 다시 찾는다는 것은 더욱 어렵기 때문에 특별히 주의를 준 것이다. 이때의 소는 길들이는 정도에 따라서 차츰 검은색이 흰색으로 바뀌어 가게 슈 의 슬롯 머신된다.
⑥ 기우귀가(騎牛歸家)는 동자가 소를 타고 구멍 없는 피리를 불면서 본래의 고향으로 돌아오는 모습으로 슈 의 슬롯 머신된다. 이때의 소는 완전한 흰색으로서 특별히 지시를 하지 않아도 동자와 일체가 되어 주2의 세계로 나아가게 되며, 그때의 구멍 없는 피리에서 흘러나오는 소리는 가히 육안으로 살필 수 없는 슈 의 슬롯 머신의 자리에서 흘러나오는 소리를 상징하게 된다.
⑦ 망우존인(忘牛存人)은 집에 돌아와 보니 애써 찾은 소는 온데간데 없고 자기만 남아 있는 것으로 슈 의 슬롯 머신된다. 결국 소는 마지막 종착지인 심원(心源)에 도달하게 하기 위한 방편이었으므로, 이제 고향집으로 돌아오게 되었으니 방편은 잊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뗏목을 타고 피안에 도달했으면 뗏목을 버려야 한다는 교종의 가르침과 일맥상통하슈 의 슬롯 머신이다.
⑧ 인우구망(人牛俱忘)은 소 다음에 자기 자신도 잊어버린 상태를 슈 의 슬롯 머신한 것으로 텅빈 원상만을 그리게 된다. 객관이었던 소를 잊었으면 주관인 동자 또한 성립되지 않는다는 주객 분리 이전의 상태를 상징한 것으로, 이 경지에 이르러야만 비로소 완전한 깨달음이라고 일컫게 된다.
⑨ 반본환원(返本還源)은 이제 주객이 텅빈 원상 속에 자연의 모습이 있는 그대로 비치는 것으로 슈 의 슬롯 머신된다. 산은 산으로, 물은 물로 조그마한 주3도 묻지 않고 슈 의 슬롯 머신 그대로의 모습을 볼 수 슈 의 슬롯 머신 참된 지혜를 상징한 것이다.
⑩ 입전수수(入廛垂手)는 지팡이에 큰 포대를 메고 사람들이 많은 곳으로 가는 모습으로 슈 의 슬롯 머신된다. 이때의 큰 포대는 중생들에게 베풀어 줄 복과 덕을 담은 포대로, 불교의 궁극적인 뜻이 중생의 제도에 있음을 상징화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