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바네로 슬롯 실상사 동종 ( )

목차
관련 정보
남원 실상사 동종
남원 실상사 동종
공예
작품
국가유산
통일신라시대의 범종.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실상사동종(實相寺銅鐘)
분류
유물/불교공예/의식법구/의식법구
지정기관
전북특별자치도
종목
전북특별자치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92년 06월 20일 지정)
소재지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50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하바네로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통일신라시대의 범종.
내용

높이 28∼99㎝, 입지름 96∼99.5㎝.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 1967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실상사에서 발견되었는데, 발견 당시 이미 상반부를 잃어서 파종(破鐘)으로 남아 있었다.

현재 남아 하바네로 슬롯 부분은 유곽(乳廓) · 비천상(飛天像) · 당좌(撞座) 등이지만 우수한 수법을 볼 수 있다. 하대(下帶)는 아래위에 가는 연주문대(連珠文帶)를 둘러 장식하고 그 안에는 당초문대(唐草文帶)를 정교하게 조각하였는데, 당초문 속에는 비천상과 당좌 바로 아래에 원형문(圓形文)이 있어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鐘)의 양식과 비슷하다.

종신(鐘身)에는 서로 마주보고 하바네로 슬롯 2구의 주악비천(奏樂飛天)과 당좌가 배치되어 있다. 당좌는 중앙에서부터 연꽃 · 인동화문(忍冬花文) · 연주(連珠)의 순으로 무늬가 장식되어 있다. 또, 주악상은 구름 위에서 천의(天衣)와 영락(瓔珞)을 위로 날리고 하바네로 슬롯 형식이 성덕대왕신종과 상원사동종(上院寺銅鐘)을 연상하게 한다.

생황(笙簧)과 피리를 불고 하바네로 슬롯 비천의 풍만한 모습은 신라불상의 양식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이 종은 남아 하바네로 슬롯 부분의 입지름으로 보아 상원사동종보다 약간 큰 규모였으리라 추정되는데, 실상사의 창건때인 828년(헌덕왕 3) 함께 주조되었다고 생각된다.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하바네로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하바네로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하바네로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