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 2 슬롯 신만엽 ()

목차
국악
인물
조선후기 8명창 중 한 사람으로 석화제에 능했던 판소리의 명창.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전라북도 여산군(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여산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m 2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8명창 중 한 사람으로 석화제에 능했던 판소리의 명창.
내용

순조 때 전라북도 여산군(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여산면)에서 태어나 고창에서 살았다. 송흥록(宋興祿)의 후배이고 김제철(金齊哲) · 박유전(朴裕全) 등과는 동배라고 한다.

그는 석화제라 하여 m 2 슬롯한 소리제에 장기가 있었으며 이를 잘하였기 때문에 ‘사풍세우 신만엽(斜風細雨申萬葉)’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특히 「수궁가」에 능하였는데 그 가운데에서도 ‘토끼가 세상에 나오는 대목’을 잘하였다.

중중모리장단에 “석화제로 가자 어서가.”로 시작하는 ‘소지노화(笑指蘆花)’라는 대목은 경쾌m 2 슬롯 화창한 석화제로 되어 가야금병창으로 많이 부르고 있다.

「수궁가」에서 토끼화상 대목에 나오는 특이한 성음들은 그의 더늠이라 한다. 그의 판소리가 화창m 2 슬롯 경쾌하기 때문에 신재효(申在孝)는 그의 「광대가」에서 “신선달(申先達) 만엽(萬葉)이는 구천은하(九天銀河) 명월백로(明月白露), 맑은 기운 취과양주(醉過楊州) 두목지(杜牧之)”라고 하였다.

이는 그 소리가 구천은하에서 떨어지는 백로와 같이 경쾌m 2 슬롯 화창하였음을 이른 것이다. 풍채좋고 정감적인 시를 많이 쓴 두목에 비긴 것도 신만엽의 이러한 특성 때문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판소리소사』(박황, 신구m 2 슬롯사, 1974)
『조선창극사』(정노식, 조선일보사출판부, 1940)
「판소리 팔명창음악론」(이보형, 『m 2 슬롯재』8, m 2 슬롯재관리국, 1974)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m 2 슬롯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m 2 슬롯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m 2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