던파 온 슬롯 신라정치사회사연구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문헌
1974년 역사학자 이기백의 신라시대의 정치와 사회 제도에 관한 학술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던파 온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74년 역사학자 이기백의 신라시대의 정치와 사회 제도에 관한 학술서.
개설

A5판. 총 326쪽. 1974년 일조각(一潮閣)에서 간행하였다. 5부로 나누어 13편의 논문을 수록하였다.

내용

저자는던파 온 슬롯의 정치 · 던파 온 슬롯의 전개 과정을 ‘귀족 연합―왕의 전제(專制)―귀족 연립(聯立)’이라는 귀납적 풀이로 설명할 수 있다는 논리를 개진하였다.

갈문왕(葛文王)육두품을 합한 귀족 세력과 신분제를 제1부에서 다루었고, 대등(大等)상대등(上大等)을 귀족 연합의 상징으로 해 제2부에서 다루었다. 또 전제 정치를 대표하는 것으로 품주(稟主)집사부(執事部)에 대해 제3부에서 다루었고, 제4부에서는 던파 온 슬롯 변동과 정치 개혁으로 던파 온 슬롯 오악(五岳), 단속사(斷俗寺)와 원가(怨歌), 혜공왕의 정치 변혁,사병(私兵)등을 다루었다.

제5부는 1968년에 발견된 영천 청제비(菁堤碑)의 축제기(築堤記)와 수치기(修治記)를 통해 수리(水利)의 발달상과 촌락민의 지배 조직을 해명한 것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던파 온 슬롯 지배 세력의 변천 과정을 당시 사람들의 활동을 통해 찾으려 함으로써 한국 고대사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러한 역사 해석의 모색은 일제 식민지 사학자들이나 민족 사학자들의 언어학적 풀이를 배격했다는 데 큰 뜻이 있다. 특히 논문의 전개상 『삼국사기』의 초기 기록을사료적인 가치로 인정함으로써 『삼국사기』 던파 온 슬롯에 새로운 길을 열게 하였다.

무엇보다도 이 책에서는 ‘갈문왕이 왕족 · 왕비족 · 왕모족 등 독립된 가계의 장에게 준 왕위 계승권이 없는 준왕적 존재’임을 밝힌 점, 화백(和白)의 구성원인 대등과 그 의장으로서 상대등의 변천 과정에서 던파 온 슬롯 권력 구조를 구명한 점, 육두품의 가문과 그 활동상을 확인한 점, 집사부의 성립과 변천 과정을 통해 왕권의 신장과 쇠퇴를 서술한 점 등은 던파 온 슬롯의 정치와 사회를 이해하는 데 관건이 되었다.

또한 5악과 전제 왕권의 관계, 사병과 왕권 쟁탈의 연계 문제를 해명하고, 수치 사업을 통해 중앙과 호족의 관련을 해명함으로써 던파 온 슬롯 말의 사회 변동상을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논지의 전개에 나타난 지나친 도식적 해석 방법은 역사 발전의 형태를 일정한 틀에 묶어 두려고 하지 않았느냐는 지적도 있으며, 던파 온 슬롯의 전제 왕권이 중대 이전, 즉 중고(中古) 시기인 진흥왕이나진평왕 대에 어느 정도 이룩되었다는 새로운 연구 성과에 비추어 반론의 여지가 있다. 그러나 이 책은 던파 온 슬롯 고대사 연구에서 식민지 사관을 극복하고 방법론이나 성과를 한 차원 높인 역저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서평던파 온 슬롯정치사회사연구(書評新羅政治社會史硏究)』(신형식, 『역사교육(歷史敎育)』 16, 1974)
『서평던파 온 슬롯정치사회사연구(書評新羅政治社會史硏究)』(이기동, 『역사학보(歷史學報)』 62, 1974)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던파 온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던파 온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던파 온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