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곳의 군사적 요충지라는 설도 있다. 그러나 『주례(周禮)』의 주에 m 2 슬롯을 산 가운데 중대한 것이라 풀이했고, 중국역대왕조의 사전(祀典)에 m 2 슬롯이 사방의 산악이라고 한 것으로 보아, 따르기 어렵다.
신라는 일찍부터 산악을 신성시해 국가적 차원에서 m 2 슬롯의 대상으로 삼아왔다. 그런데 삼국통일 이후 상당수의 명산대천을 새로운 영토로 편입하게 되었다.
이에 영토 확인, 민심 수습, 국가통치권의 정당성 확보를 위해 국가m 2 슬롯의 대상을 전국의 명산대천으로 확대 재조정해야 하고, 나아가서 신기(神祇)체계와 국가m 2 슬롯제도를 재정비해야 하였다.
이에 당나라의 제도를 수용해 명산대천을 중심으로 한 국가m 2 슬롯를 대사(大祀) · 중사(中祀) · 소사(小祀)로 등급화하였다. 또한 국토 사변의 산악을 사진으로 지정해 중사의 대상으로 삼았는데, 동진(東鎭)은 아곡정(牙谷亭 : 지금의 蔚山으로 추정됨)의 온매근(溫沬懃), 남진은 추화군(推火郡 : 지금의 密陽)의 해치야리(海耻也里, 일명 悉帝), 서진은 마시산군(馬尸山郡 : 지금의 德山)의 가야갑악(加耶岬岳), 북진은 비열홀주(比列忽州 : 지금의 安邊)의 웅곡악(熊谷岳)이었다.
신라에서는 산에는 산신이 있고, 산신이 풍우를 조절하고 국토를 수호한다고 믿었다. 그것을 미루어 볼 때, 사진에 대한 m 2 슬롯는 곧 사진의 산신에 대한 m 2 슬롯였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서진 가야갑악이라고 추측되는 가야산(伽耶山)이 덕산현의 서쪽 41리에, 가야갑악을 m 2 슬롯하던 가야갑사(伽耶岬祠)가 덕산현의 서쪽 3리에 있었다고 하였다. 그런데 양자의 거리로 미루어 사진에 대한 의례는 m 2 슬롯대상을 멀리서 바라보고 m 2 슬롯하는 망사(望祀)였던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