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슬롯 승주 유평리 유적 ( )

목차
관련 정보
승주 유평리 유적 출토 토기편
승주 유평리 유적 출토 토기편
선사문화
유적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에 있는 청동기시대 개석식과 위석식 고인돌. 지석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인터넷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에 있는 청동기시대 개석식과 위석식 고인돌. 지석묘.
내용

이사천댐(伊沙川dam) 수몰지구 발굴조사의 일환으로 지난 1987년 제주대학교 발굴조사단에 의해 모두 15기의 인터넷 슬롯 중 9기가 조사되었다. 유적 주변을 흐르는 이사천은 계곡을 따라 S자모양으로 굽이쳐 흐르는데, 인터넷 슬롯군은 그 곡류지점 서쪽 높이 120m 정도의 야산 끝단에 분포하고 있다.

한편, 이 곳에서 상류 쪽으로 700m 정도 떨어진 신학리 일대에는 총 53기의 인터넷 슬롯이 4∼13기씩 무리지어 하천을 따라 8지점에 분포하고 있다. 또 그 상류 쪽에도 150여 기의 인터넷 슬롯들이 무리지어 분포하고 있다. 인터넷 슬롯은 야산의 끄트머리에 동서 15m, 너비 20m 범위 내에 밀집분포하나, 배치상에 있어 어떤 뚜렷한 양상을 보이지는 않는다.

인터넷 슬롯의 형식을 살펴보면, 조사된 9기 중 4기는 지하에 돌덧널시설을 갖추고 받침돌이 없는 무지석식(無支石式, 또는 개석식)이고, 나머지 5기는 따로 매장시설이 마련되지 않고 3∼7매의 받침돌로 둘러싸인 구역이 매장부가 되는 돌둘림식[圍石式] 인터넷 슬롯이다.

덮개돌과 지하 돌덧널의 장축방향은 돌둘림식 인터넷 슬롯 중 1기가 북서―남동인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남북방향이다. 출토유물 중 인터넷 슬롯로는 적갈색 거친민무늬인터넷 슬롯[粗質無文土器]와붉은 간인터넷 슬롯[赤色磨硏土器]의 두 종류가 있다. 그 중 붉은 간인터넷 슬롯는 동체부 어깨와 목에 흑색가지무늬가 있는 이른바 가지무늬인터넷 슬롯[彩文土器]이다.

이것은 전라남도와 경상남도 지방 등 한반도 남부지역에서 보이는 특징적인 것이다. 석기로는 전형적인 일단병식(一段柄式)의 간 돌검 1점이 인터넷 슬롯 내부에서 껴묻거리( 부장품)로 출토되었다. 그리고 마제 돌살촉3점,바퀴날도끼편(環狀石斧片) 1점, 미완성석기 1점 등이 인터넷 슬롯 받침돌 틈 또는 주변의 표토층에서 출토되었다.

전체적인 유적의 상황을 통해볼 때, 이사천 상류에 위치한 유평리 유적은 기본적으로는 보성강 일대의 인터넷 슬롯문화와 그 맥을 같이한다. 축조시기는 민무늬토기시대 전기 말이나 후기 초로 추정된다. 지하에 매장시설이 따로 없는 형식의 인터넷 슬롯은 축조연대가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주암댐수몰지구고고슬롯조사보고」(최몽룡·이영문, 『주암댐수몰지구지표조사보고서』, 전남대학교박물관, 1985)
「유평리 유천 인터넷 슬롯(이청규, 『주암댐수몰지역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서』Ⅳ, 전남대학교박물관, 1988)
관련 인터넷 슬롯 (1)
집필자
최몽룡(서울대학교, 고고학)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인터넷 슬롯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인터넷 슬롯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