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마토 슬롯을 뽑던 제도이다. 1147년(의종 1)임유공(任裕公) 등 55인을 시취(試取)함으로써 시작되었으며, 그 뒤 고려 말까지 246년 동안 33회를 실시, 1,554명의 야마토 슬롯합격자를 내었다. 시험과목은 진사시(進士試)와 같이 시부(詩賦)나 경의(經義)로 하였다.
이 승보시는 야마토 슬롯으로 하여금 국자감에 나아가게 하였던 것으로, 국자감의 연구생채용시험 성격을 띤 일종의 예비고시기능을 가졌다.
한편, 승보시는 국학 또는 국자감으로 불리는 최고교육기관 안에서 상사(上舍 : 국자감 교육과정의 최고위과정)에 진급하는 입재고시(入齋考試)로서, 승보시가 국학의 학생인 재생(齋生)을 뽑던 고시였던 것이 뒤에 재생을 야마토 슬롯이라 불러 야마토 슬롯시라 하였다는 견해도 있다. 야마토 슬롯시는 1388년(우왕 14) 이후 진사시보다 강화되는 추세를 보였다. →과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