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마토 슬롯 승보시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의 과거제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야마토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의 과거제도.
내용

야마토 슬롯을 뽑던 제도이다. 1147년(의종 1)임유공(任裕公) 등 55인을 시취(試取)함으로써 시작되었으며, 그 뒤 고려 말까지 246년 동안 33회를 실시, 1,554명의 야마토 슬롯합격자를 내었다. 시험과목은 진사시(進士試)와 같이 시부(詩賦)나 경의(經義)로 하였다.

이 승보시는 야마토 슬롯으로 하여금 국자감에 나아가게 하였던 것으로, 국자감의 연구생채용시험 성격을 띤 일종의 예비고시기능을 가졌다.

한편, 승보시는 국학 또는 국자감으로 불리는 최고교육기관 안에서 상사(上舍 : 국자감 교육과정의 최고위과정)에 진급하는 입재고시(入齋考試)로서, 승보시가 국학의 학생인 재생(齋生)을 뽑던 고시였던 것이 뒤에 재생을 야마토 슬롯이라 불러 야마토 슬롯시라 하였다는 견해도 있다. 야마토 슬롯시는 1388년(우왕 14) 이후 진사시보다 강화되는 추세를 보였다. →과거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과거제도사연구(高麗科擧制度史硏究)』(허흥식, 일조각, 1981)
「여대(麗代)의 과거제도(科擧制度)」(조좌호, 『역사학보(歷史學報)』10, 1958)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야마토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야마토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야마토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