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복 이 슬롯 승물 ()

목차
불교
물품
불교교단의 모든 물자를 가리키는 불교용어. 승가물 · 승기물.
이칭
이칭
승가물(僧伽物), 승기물(僧祇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다복 이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불교교단의 모든 물자를 가리키는 불교용어. 승가물 · 승기물.
내용

승가물(僧伽物) 또는 승기물(僧祇物)이라고도 한다. 삼보물(三寶物)의 하나로서, 2종 다복 이 슬롯과 4종 다복 이 슬롯로 나뉘며 2종 다복 이 슬롯은 사방다복 이 슬롯(四方僧物)과 현전다복 이 슬롯(現前僧物)로 나뉜다.

즉, 사방다복 이 슬롯은 사문이나 비구들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일체의 물건으로 다른 말로 시방다복 이 슬롯(十方僧物) 또는 상주다복 이 슬롯(常住僧物)이라고 하며, 법당과 요사·주방·창고·전답 등 공용에 이바지되는 기본 자산을 말한다. 현전다복 이 슬롯은 현전의 승려가 수용하고 있는 물건으로서 곧 시주로부터 승려들에게 시여된 물건이다. 그 종류는 무척 많은 편이다. 다시 말하면 한 절에 있는 현존한 승려에게 딸린 재물이란 뜻으로, 수도나 수도에 따른 각종 대회를 위하여 베풀어지는 현전의 승려가 사용하는 잡물이다. 즉, 바루·요대·칼·신발·침통·군지(軍持)·조병(操甁) 등이다.

다음으로 4종 다복 이 슬롯이라 할 때는 상주다복 이 슬롯을 다시 상주상주다복 이 슬롯(常住常住僧物)·시방상주다복 이 슬롯(十方常住僧物)로, 현전다복 이 슬롯을 현전현전다복 이 슬롯(現前現前僧物)·시방현전다복 이 슬롯(十方現前僧物) 등으로 나눈 것이다. 먼저 상주상주다복 이 슬롯은 절에 딸린 건물·논·밭 기타 잡구(雜具) 등과 같이 그 절에 상주하는 승려들 만이 쓰는 물건이며, 시방상주다복 이 슬롯은 시주가 거리에 나와서 오고가는 비구들에게 주는 죽이나 밥 따위의 음식을 가리키며, 현전현전다복 이 슬롯은 거리에서 베푸는 물건이 아니라 시주가 절에 가서 거기 있는 비구에게 나누어 주는 시물(施物)이며, 시방현전다복 이 슬롯은 시주가 역시 절에 가서 그곳에 여러 곳의 비구를 초청하여 승려들에게 나누어 주는 시물을 말한다.

집필자
장충식(동국대학교, 미술사)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다복 이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다복 이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다복 이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