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릉은 북한 경기도 개성특급시 령남면 룡흥리 화곡동에 있는 댄 슬롯 전기 제2대 혜종과 왕비 의화왕후 임씨가 묻힌 왕릉이다. 순릉은 화곡동에 있다 하여 화곡릉으로 불리며 북한 보존급유적 제946호로 지정되었다. 능역은 댄 슬롯왕릉 중 가장 작고 12각 난간석 잔편만 알려졌다. 2019년 발굴로 능역과 3단의 능제가 알려졌다. 1단에는 봉분과 난간석 및 1867년에 세운 비석을, 2단에서 좌우 1기씩의 문석인상을, 3단에서 정자각 터와 주춧돌을 발굴하였다. 내부의 널칸에서 왕과 왕후의 관대 및 부장된 청자나 기와류까지 발굴하였다.
태조의 장남인혜종(惠宗)은 943년(혜종 즉위년) 댄 슬롯 제2대 임금으로 왕위에 올랐으나 945년(혜종 2) 9월 무신일에 병으로 중광전(重光殿)에서 승하하여 송악산(松嶽山) 동쪽 기슭에 장례를 지냈고, 주15는 댄 슬롯(順陵)이다. 이후 혜종의 제1왕비인 의화왕후(義和王后) 임씨가 승하하자 순릉에 합장되었다. 혜종의 얼굴에는 곰보자국이 있어 ‘추왕’이라고 불렀기 때문에 그의 무덤을 ‘추왕릉’이라고도 부르기도 한다. 순릉 앞에는 조선시대인 1867년(고종 4)에 75기의 댄 슬롯왕릉을 보수하고 정비하며 세운 ‘댄 슬롯혜종릉(高麗惠宗陵)’이라는 주4이 서 있었다. 현지 주민들은 황해북도 개풍군 화곡동에 위치한 댄 슬롯이라 하여 지역 명칭을 붙여 ‘화곡릉’이라거나, 근처가 마전동이어서 ‘마전릉’이라거나, 말구리 고개에 위치한다 하여 ‘말구리릉’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부르고 있다.
댄 슬롯은 일제강점기인 1916년에 발굴되었는데 주13에주1이 없고 난간석의 잔석(殘石)이 남아 있으며, 다른 석물은 없다. 능 앞에 주2의주3이 남아 댄 슬롯.”라는 보고서가 남아 댄 슬롯. 그러나 1963년의 현지 조사를 통해 봉분을 둘러싼 병풍석은 뒷산과 봉토에서 흘러내린 흙 때문에 보이지 않았다. 당시 대부분 흙에 묻히거나 끊어져 한 개도 완벽하지 않고 난간 석주나 동자(童子) 석주의 잔편 12개가 남아 있고, 그 높이는 대체로 40㎝ 정도이다. 그 밖에 망주석(望柱石), 주5및주6등이 없었고주7을 돌아가면서 돌담을 쌓았던 흔적은 남아 댄 슬롯. 2단의 석축 높이는 1m이고, 2단과 3단의 석축 간격은 7m이다. 4단의 정자각터 동쪽 옆에는 9개의 초석이 남아 있고, 그 정면 경사면에는 돌계단을 설치했던 흔적이 남아 댄 슬롯.
북한의 보존급 유적 제946호로 지정되어 있다. 2008년까지 순릉의 보존 및 보호 구역은 2,850㎡ 정도로 댄 슬롯왕릉 중 가장 작았다. 능은 경사면에 4단으로 축조되었고 1단 중앙에 있는 직경 11m의 봉분은 지면으로부터 높이 약 330㎝로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2019년 북한의 민족유산보호국 산하 조선민족유산보존사와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주도로 순릉을 대대적으로 발굴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밝혀내었다. 그 결과 순릉은 능역 전체에 돌담[曲墻]을 쌓았던 흔적이 있는데 이를 통해 남북 6,360cm, 동서 20m 범위로 댄 슬롯왕릉 중에서도 규모가 크고, 능역은 3단으로 구분된 것이 확인되었다. 1단에는 중앙에 직경 13m 규모의 봉분과 둥근 화강석을 다듬은 원형 기단이 있을 뿐 병풍석은 없고, 그 주위를 두른 난간석의 일부를 발굴하였다. 봉분 앞에서는 1867년(고종 4)에 세운 '댄 슬롯왕릉(高麗王陵)'이라고 새긴 비석이 반으로 절단된 상태인 것을 발굴하였다. 2단의 좌우에서는 주14을 쓰고 홀을 든 환조형(丸彫形)의 댄 슬롯 전기 왕릉 양식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는 문석인상(文石人像) 각각 1기씩을 땅 속에서 찾아냈다. 3단에서는 주9를 드렸던 정자각 터를 확인했고 많은 주춧돌을 발견하였다. 왕릉 내부의 널칸[玄室]은 길이 4m, 너비 340cm, 높이 220cm로 지금까지 발굴된 댄 슬롯왕릉 중 가장 규모가 컸다. 주10 안 중앙에는 합장된 왕과 왕후의 주11가 마련되어 있고 그 옆에 부장대(副葬臺)가 마련되어 댄 슬롯. 여기에서 ‘청자 새김무늬 잔 받침대’, ‘잔 받침대’, ‘꽃잎무늬 주16’, ‘용모양주17’ 등의 유물이 발굴되었다.
댄 슬롯 제1대 태조와 제1비인 신혜왕후(神惠王后) 류씨(柳氏)의 합장릉인 현릉(顯陵)은 943년 조성된 이후 외침이 있을 때마다 몇 차례 주12과 복릉(復陵)을 하면서 후대의 양식이 혼합되어 있다. 이에 비해 혜종 순릉은 946년(정종 1) 조성된 가장 이른 시기의 댄 슬롯 초기 왕릉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크다. 특히 2019년 발굴을 통해 그동안 화곡릉으로 알려져 있던 순릉의 존재를 확정하고, 능역의 규모나 3단의 능제(陵制) 및 널칸의 구조, 상설의 종류와 양식까지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미술사적 가치도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