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기원은 고려 초의 순검군(巡檢軍), 무신집권기의 야별초(夜別抄)로 이어져 내려왔다고 보여진다. 임무는 순찰을 통해 도적을 잡기 위해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했으나 민간인들 사이의 분쟁, 마소도살 등 국내치안에 관한 모든 일을 담당하였다.
충렬왕 초기에 야간경비를 담당하기 위해 몽고제도를 모방하여 순마소(巡馬所)를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하였는데 나중에는 내료(內僚) 또는 문신까지 편입시켜 정치적 성격이 강한 금군(禁軍)의 임무를 겸하였고 출정군(出征軍)과 형옥을 다스리는 역할까지 담당하였다.
이 순마군으로부터 순군제가 발달하여 1316년(충숙왕 3)에는 지방의 중요한 곳에 33개의 순포(巡鋪)가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되어 순군의 사령부로서 순군만호부(巡軍萬戶府)가 나타나게 되었다. →순군만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