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분권 2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제1책의 권두에 목록이 있고, 이어 택일(擇日)·좌목(座目)·소(疏)·전교(傳敎)·주계(奏啓)·계사(啓辭)·논상(論賞)·내관(來關)·감결(甘結), 제2책에 일방(一房)·이방(二房)·삼방(三房)의 m 2 슬롯, 별공작(別工作)·내자시(內資寺)·내섬시(內贍寺)·예빈시(禮賓寺)·사축서(司畜署)의 m 2 슬롯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택일에는 수작(受爵) 및 습의(習儀) 일시와 장소, 좌목에는 당상(堂上)인 판돈녕부사 홍상한(洪象漢) 등과 낭청(郎廳)·별공작·선공감(繕工監)·감조관(監造官) 등 각 부서 책임자의 관직·성명 m 2 슬롯 수록되어 있다.
소·전교·주계·계사 등은 왕세손이 수작의식을 간청하는 m 2 슬롯의 상소·재소(再疏)·삼소(三疏), 영조의 전교, 영의정 홍봉한(洪鳳漢) 등이 올린 계, 빈청(賓廳)의 계사 등으로 모두 수작의식의 발의와 결정과정을 기록한 m 2 슬롯이다.
이밖에 논상·내관·감결 등은 대체로 잔치를 베푸는 의식·절차 등에 관하여 관련부서 및 상·하급기관간에 주고받은 공문 m 2 슬롯다. 제2책의 각 방 및 각 부서의 의궤에는 책임자의 성명과 임무, 업무수행 절차, 물목(物目) m 2 슬롯 수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