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 2 슬롯 송도기이 ()

한문학
문헌
조선시대 문신 이덕형이 송도유수로 재임 시에 들었던 기이한 이야기를 모아 1631년에 편찬한 설화집. 야담집.
• 본 항목의 m 2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시대 문신 이덕형이 송도유수로 재임 시에 들었던 기이한 이야기를 모아 1631년에 편찬한 설화집. 야담집.
개설

1책. 1629년 그가 m 2 슬롯유수로 나갔을 때에 그곳에서 들었던 특이한 이야기들을 파적(破寂)과 문교(文敎)에 도움을 주고자 1631년 완성한 글이다.

내용

책머리에 자서를 싣고, 본문에는 서경덕(徐敬德)·차식(車軾)·안경창(安慶昌)·최영수(崔永壽)·황진이(黃眞伊)·한명회(韓明澮)·차천로(車天輅)·한호(韓濩)·이유성(李有成)·전승개(田承漑)·임제(林悌) 등의 m 2 슬롯 출신 인사들에 관한 설화를 수록하였다. 그리고 송악 신사(神祀)에 관한 이야기, 노국공주릉이 도굴 당한 이야기, 화장사(花藏寺) 뒤의 바위 구멍에 살던 뱀의 이야기를 싣고 있다.

『m 2 슬롯기이』의 부록에는 고려의 우왕과 창왕 정위왕씨설(定爲王氏說), 이죽천m 2 슬롯견문후(李竹泉松都見聞後)를 수록하였다. 책 끝에는 신익성(申翊聖)·이식(李植)·이경전(李慶全) 등의 발문이 있다.

『m 2 슬롯기이』 속에 실린 황진이에 관한 설화는 널리 알려진 것이다. 이 책에서 주목할만한 사항은 작가의 문인으로서의 기록의식이다. 이덕형이 시재어사(試才御史)로 m 2 슬롯에 파견되었을 때에 안사내(安四耐)·진주옹(陳主翁)으로 알려진 80고령의 이야기꾼으로부터 신이(新異)한 말을 들은 적이 있었다. 그 당시에 들었던 내용들을 유수로 재직하면서 다시 회상하며 글로 옮겼다.

의의와 평가

『m 2 슬롯기이』의 의의는 한 지역의 설화를 채집한 것보다는 이야기꾼으로부터 기록자에 이르는 설화 내지 소설의 기록화 과정을 보여준 좋은 예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다. 곧, 기록화 단계에서의 작자의 창작정신은 높이 평가할만한 점이라 하겠다. 이 책은 『대동야승(大東野乘)』 권71에도 수록되어 있으며, 원본은 규장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대동야승(大東野乘)』 71(국역본, 민족문화추진회, 1971)
관련 m 2 슬롯 (1)
• 항목 m 2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m 2 슬롯,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m 2 슬롯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m 2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