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네이도 슬롯 송광사 흑토 기와·전 도요지 ( · )

목차
관련 정보
순천 송광사 흑토 기와.전 도요지
순천 송광사 흑토 기와.전 도요지
공예
유적
국가유산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에 있는 조선후기 기와를 굽던 가마터.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송광사흑토토네이도 슬롯.전도요지(松廣寺黑土器瓦.塼陶窯址)
분류
유적건조물/산업생산/요업/토기토네이도 슬롯
지정기관
토네이도 슬롯도
종목
토네이도 슬롯도 시도기념물(1977년 10월 20일 지정)
소재지
전남 순천시 토네이도 슬롯면 토네이도 슬롯사안길 100 (신평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토네이도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에 있는 조선후기 기와를 굽던 가마터.
내용

1977년 전라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송광사 화엄전 남쪽 약 350m 산기슭에 있다. 이 토네이도 슬롯가마터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송광사가 당시 사찰의 규모를 재정비하면서 사찰건축에 직접 사용하기 위해 축조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보통 조선시대 토네이도 슬롯가마가 짧고 둥근데 비해 이 가마는 대형이며 매우 큰 구조를 보이고 있다. 가마는 아궁이와 봉통부, 몸체부[燔造室] 등 세 부분으로 나눠지는데, 특히 이 가마는 봉통부가 매우 큰 것이 특징이다.

이는 불막음 전에 생소나무를 많이 넣어 탄소입자가 토네이도 슬롯에 많이 스며들도록 하기 위한 의도적인 구조로 추정된다. 또한 아궁이가 좁고 긴 것은 불막음 뒤 공기의 흡입을 완전히 차단함으로써 조그마한 공기구멍 하나라도 없도록 하기 위한 조처로 여겨진다.

송광사에 전해지는 기록에 의하면 조선 전기인 1448년(세종 30)과 1490년(성종 21) 2회에 걸쳐 토네이도 슬롯제작 기록이 있으며, 1639년(인조 17)부터 18세기말까지 총 10회에 걸친 토네이도 슬롯제작 기록이 남아있어 이 때 가장 왕성한 송광사의 중창불사(重創佛事)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도록(文化財圖錄)』(토네이도 슬롯도, 1998)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토네이도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토네이도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토네이도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