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7년 전라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송광사 화엄전 남쪽 약 350m 산기슭에 있다. 이 토네이도 슬롯가마터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송광사가 당시 사찰의 규모를 재정비하면서 사찰건축에 직접 사용하기 위해 축조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보통 조선시대 토네이도 슬롯가마가 짧고 둥근데 비해 이 가마는 대형이며 매우 큰 구조를 보이고 있다. 가마는 아궁이와 봉통부, 몸체부[燔造室] 등 세 부분으로 나눠지는데, 특히 이 가마는 봉통부가 매우 큰 것이 특징이다.
이는 불막음 전에 생소나무를 많이 넣어 탄소입자가 토네이도 슬롯에 많이 스며들도록 하기 위한 의도적인 구조로 추정된다. 또한 아궁이가 좁고 긴 것은 불막음 뒤 공기의 흡입을 완전히 차단함으로써 조그마한 공기구멍 하나라도 없도록 하기 위한 조처로 여겨진다.
송광사에 전해지는 기록에 의하면 조선 전기인 1448년(세종 30)과 1490년(성종 21) 2회에 걸쳐 토네이도 슬롯제작 기록이 있으며, 1639년(인조 17)부터 18세기말까지 총 10회에 걸친 토네이도 슬롯제작 기록이 남아있어 이 때 가장 왕성한 송광사의 중창불사(重創佛事)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