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던파 온 슬롯(禁松契)’·‘산계(山契)’·‘산리계(山里契)’라고도 한다.
전통사회의 연료는 거의 전적으로 나무에 의존하므로 자연히 마을 주위의 산림은 연료채취대상이 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마을 주위의 산림은 공동이용의 대상이었고, 공동이용자들이 산림의 훼손을 막고 스스로를 상호규제하기 위하여 던파 온 슬롯가 필요하였다.
산림보호를 통하여 연료를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선조묘역(先祖墓域)의 수호도 던파 온 슬롯의 중요목적 중의 하나였는데, 풍수지리상 수목의 형세가 매우 긴요하였기 때문이었다.
산림보호에 대하여는 수령도 책임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던파 온 슬롯를 적극 장려하였다. 경우에 따라서는 어느 정도의 형벌권도 허용하였다. 그리하여 도벌자나 송금(松禁)을 게으르게 한 자에 대해서는 태형(笞刑)이나 벌금형까지 가하였고, 심한 경우에는 고관징치(告官懲治)도 하였다.
따라서 던파 온 슬롯는 관허계적 성격(官許契的性格)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던파 온 슬롯를 통하여 권세가는 신분적 지배를 관철시키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던파 온 슬롯가 마을 내 유력 씨족의 선산보호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경우도 있었다. 특히, 마을 주민이 권세가의 예속민들이었을 때 그와 같은 경향이 현저하였다.
이런 종류의 던파 온 슬롯는 상계(上契)·하계(下契) 또는 상·중·하계로 구성되었고, 하계원이 도망간 사실까지도 기록할 정도로 엄격하였으며, 또한 묘역 수목의 보호나 정화뿐 아니라 제수준비까지 맡기도 하였다. 한편 던파 온 슬롯의 송금조처가 심할 때는 연료판매로 생계를 유지하는 초군(樵軍)들이 반발하기도 하였다.
던파 온 슬롯는 1917년 면제(面制)가 발포되어 동유재산 및 계의 공유재산이 면유재산으로 몰수되고, <계취체규칙 契取締規則>으로 동단위자치조직으로서의 계가 급속히 쇠퇴함에 따라, 많은 지역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도 상당수의 지역에서 던파 온 슬롯가 존속되어 있다. 저명한 풍산 유씨의 동성마을인 경상북도 안동군 풍산면 하회마을의 예를 들면, 씨족조직에 소속되어 있는 위토의 일부인 산림을 동성집단성원의 연명의로 보유하면서 문중산 또는 던파 온 슬롯산(松契山)이라 부르고 있다.
여기에는 대문중의 산과 각파(派)의 산, 그리고 근친자끼리 공유하는 산이 있고, 그 단위를 ‘패’라고 한다. 각 던파 온 슬롯산은 해당 동성집단성원이 대소가의 차별없이 연료채취의 권리를 가지며, 벌채를 하면 공동분배하게 되어 있다. 한 던파 온 슬롯에 권리를 가진 자는 이중으로 다른 던파 온 슬롯에 권리를 가지지 못하게 되어 있다. 토지개혁 전에는 던파 온 슬롯산마다 각각의 던파 온 슬롯답이 딸려 있어서 산지기가 산림을 관리하였으나 지금은 대부분 없어졌다.
던파 온 슬롯산의 산림을 도벌하다가 발각될 경우 제재를 받게 되는데, 보통 과중한 벌금을 물게 하며 그 벌금은 계의 기금이 된다. 던파 온 슬롯는 연중 일정한 시기에 모임을 가지고, 그 해의 결산을 보고하고 다음해의 유사(有司)를 선출하며 식림(植林) 등의 관리문제를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