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저금통 솔성재유고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박정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3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슬롯 머신 저금통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박정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893년 증손 희권(熙權)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병선(宋秉璿)의 서문, 권말에 희권의 발문이 슬롯 머신 저금통. 국립중앙도서관에 슬롯 머신 저금통.

권1은 시 51수, 서(序) 1편, 기 6편, 녹(錄) 4편, 사적 1편, 해(解) 3편, 권2는 부록으로 실장(實狀)·만사·묘표·서묘표뇌만후(書墓表誄挽後)·천목(薦目)·정영읍장(呈營邑狀)·정수의장(呈繡衣狀)·통장(通狀) 각 1편이 수록되어 슬롯 머신 저금통.

시에는 생동감 있게 묘사한 가작이 많다. 「제화양구곡(題華陽九曲)」은 송시열(宋時烈)이 공부하던 곳인 화양구곡의 경천벽(擎天壁)·운영담(雲影潭)·읍궁암(泣弓巖)·금사담(金沙潭)·첨성대(瞻星臺)·능운대(凌雲臺)·와룡암(臥龍巖)·학소대(鶴巢臺)·파곶(巴串) 등을 운치 있게 묘사슬롯 머신 저금통이다. 「사계화(四季花)」·「낙화(落花)」·「종포도(種葡萄)」·「애매(愛梅)」 등은 영물시이며, 사물의 묘사에 특색이 있어 그의 대표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강장군묘현몽개사기(姜將軍墓現夢改莎記)」는 임진왜란 때 전사한 병장 강희보(姜希輔)와 강희열(姜希烈)의 묘를 개수하게 된 내력을 기록슬롯 머신 저금통이다. 「회덕심원기(懷德尋源記)」는 회덕에 있는 송시열과 송준길(宋浚吉)이 강학하던 곳을 찾아보고 학문이 점점 쇠퇴하여 감을 탄식한 기록이다.

「종유일기(從遊日記)」는 스승인 송치규(宋穉圭)에게서 배운 것을 기록슬롯 머신 저금통으로 그의 학문 경향을 엿볼 수 있다. 「유금산록(遊錦山錄)」과 「유화양동기(遊華陽洞記)」는 금산과 화양동을 둘러보고 쓴 여행 기록이다.

「격물잡록(格物雜錄)」은 천문·지리·금수·초목·생산품 등에 대해 아는 것을 격물치지의 방법에 의해 정리슬롯 머신 저금통이다. 「기삼백해(朞三百解)」와 「주역주해(周易註解)」는 『서경』과 『역경』의 내용 가운데 풀이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 주해슬롯 머신 저금통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슬롯 머신 저금통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슬롯 머신 저금통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