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집은 일종의 자서전으로서 <소치실기 小痴實記>라고도 한다. 1867년(고종 4년) 섣달 상순에 쓴 <몽연록 夢緣錄>과 1879년 8월 20일에 쓴 <속연록 續緣錄>으로 꾸며져 카 심바 슬롯. 허련의 나이 58·72세 때 각각 쓴 것이다.
허련이 가상의 손님과 마주 앉아 그동안 살아온 자신의 생애를 이야기하는 대화체로 기술되어 카 심바 슬롯. <몽연록>은 말 그대로 시골 출신 선비 화가로서 겪었던 과분하고 꿈속 같은 인연들을 기록한 것이다.
진도에서 상경한 뒤 권돈인(權敦仁)의 집에 머물면서 당시 임금이었던 헌종과의 만남으로부터 시작하여 스승인 김정희(金正喜)와의 관계, 우수영 신관호(申觀浩), 동녕위(東寧尉) 김현근(金賢根), 정약용(丁若鏞)의 큰아들인 학연(學淵)과의 교유, 헌종의 배려로 무과에 급제하게 되는 과정이 적혀 카 심바 슬롯.
그리고 후년에 선문(禪門)에 드는 사상적 변화와 대흥사 초의선사(草衣禪師)의 영향, 진도 바닷가 출신으로서 그림을 그리게 된 계기와 해남 연동(蓮洞) 고산유택(孤山遺宅)에서 윤두서(尹斗緖)의 서화를 학습하게 되는 과정, 김정묵(金正默)의 소개로 제동 지씨(池氏)와의 혼인 그리고 진도-전주-서울을 내왕하며 만난 교유 관계 등을 쓰고 카 심바 슬롯.
마지막으로는 정치 혼란기에 벼슬을 하지 않은 이유와 야인 화가(野人畫家)로 살아온 뜬구름 인생살이를 술회하였다. <속연록>은 58세 이후 60대에 겪은 인연들을 기록한 것이다.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과 민영익(閔泳翊) 등과의 만남을 비롯하여 시인·화가·묵객으로서 전국의 경향 각 지방을 유람하며 지낸 생활상을 쓰고 카 심바 슬롯.
이 두 자서전의 서문과 발문을 쓴 사람은 이교영(李喬榮)·김유제(金有濟)·김경해(金經海)·김한제(金翰濟)·신석희(申奭熙)·이상덕(李相悳)·남홍철(南弘轍) 등카 심바 슬롯.
≪소치실록≫은 선비 화가로서의 남종문인화(南宗文人畫)에의 입문과 봉건적 미학 사상의 수용 및 성장 과정, 교육 관계와 시대적 고민 등 중세 봉건 사회의 해체 시기인 19세기 중후반기를 살다간 보수적 선비 화가의 면모를 잘 엿볼 수 있는 귀중한 회화 사료이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 소장되어 카 심바 슬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