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 소무 ()

국악
작품
현행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중 아헌(亞獻:제사 때 두 번째로 잔을 올리는 일)과 종헌(終獻)의 인입(引入)에 연주되는 정대업지악(定大業之樂)의 첫 곡.
• 본 항목의 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현행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중 아헌(亞獻:제사 때 두 번째로 잔을 올리는 일)과 종헌(終獻)의 인입(引入)에 연주되는 정대업지악(定大業之樂)의 첫 곡.
내용

무무(武舞)를 담당하는 일무(佾舞:사람을 가로 세로가 같게 여러 줄로 세워 추게 하는 춤)의 무원(舞員)이 족도(足蹈:발로 뛰는 것)를 하며 입장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 헌가(軒架)에서 음악을 아뢰면, 아헌에서는 진고 10통(晉鼓十通) 뒤에 연주되고 종헌에서는 진고 3통 뒤에 연주된다.

세종 때 회례악(會禮樂)으로 창작되었으나 세조 때에 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말과 곡이 개작, 축소되어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된 뒤 현재에 이른다. 곡명의 ‘소무’는 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말 중 소성무(昭聖武)에서 따온 말이다. 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말은 원래 5언 12구의 한시였으나 현재는 5언 4구로 불리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하늘이 우리의 여러 성군을 돌보아 주시어서, 대대로 거룩한 무운(武運)을 빛나게 하시도다. 거의 더 강할 수 없는 업적을 올리심이여, 이럼으로써 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하고 또 춤을 추나이다(天眷我列聖 繼世昭聖武 庶揚無競烈 是用歌且舞).

창작 당시에는 남려궁계면조(南呂宮界面調)였으나 세조 때 황종궁계면조(黃鐘宮界面調)의 5음 음계로 고쳐져 현재에 이른다. 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말 매구의 끝에 박(拍)이 한 번 들어간다. 장단과 리듬은 불규칙하고, 종지형은 하강종지형으로 하일(下一)에서 하오(下五)에 이른다.

그러나 최종 종지음은 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와 관악기는 무역(舞射:십이율의 열한째 음)을 연주하나 편종과 편경 등의 타악기는 황종(黃鐘)을 연주함으로써 묘한 불균형을 이루며 끝난다. 「분웅(奮雄)」·「영관(永觀)」과 더불어 태평소가 주선율을 담당하고 있어 특이한 맛을 느끼게 한다.

특히 종지부분 이외에도 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와 태평소 등 관악기의 무역음과 편경 등의 황종음의 부조화는 특징적인 것으로 원래의 5음으로 된 계면조가 3음 내지는 4음으로 변해가는 현상을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세종실록』악보·『세조실록』악보·『속악원보(俗樂源譜)』·『대악후보(大樂後譜)』·『시용무보(時用舞譜)』등에 악보로 전한다.

참고문헌

『세종실록(世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대악후보(大樂後譜)』
『속악원보(俗樂源譜)』
『시용무보(時用舞譜)』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의 음악적 고찰」(音樂的考察)(장사훈, 『국악논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6)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