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권 27책. 필사본. 편자와 편년은 미상이나 인용된 자료를 볼 때 영조와 정조대에 편찬된 것으로 추측된다.
소대(昭代)는 밝게 다스려진 세상이라는 뜻으로 모바일 슬롯시대의 역사를 미화한 것이다. 또한, 모바일 슬롯시대 역사 이전의 고려말에 해당되는 신왕지변(辛王之辨)과 태조의 4대조인 목조(穆祖)·익조(翼祖)·도조(度祖)·환조(桓祖)의 약력을 실어 모바일 슬롯건국의 합리화를 의도하였다.
이 책의 모바일 슬롯은 1책에 신왕지변에서 태종조까지, 2책에 세종조, 3책에 문종에서 예종조, 4책에 성종·연산조, 5·6책에 중종조, 7책에 명종조, 8∼14책에 선조조, 15책에 광해·인조조, 16∼19책에 인조·효종조, 20책에 현종조, 21∼27책에 숙종조에 해당되는 사실이 수록되어 있으며, 각 왕별로 편년체의 형식을 취하였다.
또한, 각 기사마다 적기(摘記 : 요점만 뽑아 기록함)된 인용자료를 살펴보면 『여사제강(麗史提綱)』·『고려사』 등 관찬사료 및 『필원잡기(筆苑雜記)』·『추강냉어(秋江冷語)』 등 야사류, 그밖에 문집류와 비문 등을 망라하였는데, 특히 야사류의 비중이 높다.
이 책은 일관된 체계나 특기할 만한 중요성은 보이지 않고, 다만 각 왕별로 편년에 따라 여러 서적에서 기사를 모아 사실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규장각도서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