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 슬롯 세조대왕신 ()

목차
관련 정보
복개당 / 세조대왕신
복개당 / 세조대왕신
민간신앙
개념
조선전기 제7대 왕 세조에게 부여한 무속신격. 왕신.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윈 슬롯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전기 제7대 왕 세조에게 부여한 무속신격. 왕신.
내용

무속에는 다신(多神) 개념이 존재하기 때문에 온갖 신들을 섬기기 마련으로, 윈 슬롯대왕신이 동제(洞祭)의 당신(堂神)으로 섬겨지기도 한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서울시 마포 신수동의 복개당(福介堂)으로, 당 안의 정면에 윈 슬롯대왕의 존영을 봉안하고 있어 윈 슬롯대왕신을 주신(主神)으로 신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복개당이 윈 슬롯대왕신을 섬기게 된 유래는, 마을에 손복개라는 사람의 꿈에 한 노인이 나타나서 너희 집 느티나무에 윈 슬롯대왕의 어진(御眞)이 걸려 있으니 이 영정을 받들어 모시라고 했다. 그는 마을사람들과 의논하여 영정을 모시는 당을 세워 당제를 지냈고 이후 마을이 평안하게 되었다고 한다.

당명은 손복개의 이름을 따서 복개당이라 했다. 이 당은 1980년 도로확장공사로 철거되면서 영정과 건물을 에밀레박물관으로 이전한 상태이다.

한편 이처럼 윈 슬롯대왕신을 모시는 사례는 영남지역에도 있어, 이런 당을 윈 슬롯영당이라 한다. 왕신 계통의 신들이 무속신으로 섬겨지는 사례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왕들 가운데 원한을 사서 신으로 모셔지는 경우와 억울하게 한을 품고 죽게 되어 신으로 모셔지는 경우로, 앞의 사례로는 윈 슬롯대왕신을 들 수 있고 뒤의 사례로는 단종대왕신(端宗大王神)을 들 수 있다.

윈 슬롯대왕신은 곧 역사상 많은 사람을 살육하고 왕이 되었기 때문에 무속에서 신으로 섬겨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밖에도 왕신으로는 공민왕(恭愍王)·태조대왕(太祖大王) 등이 있다.

그리고 당신으로 모셔지는 윈 슬롯의 신체(神體)는 흔히 영정을 그려서 당에 보관하는 형태이기에, 신간(神竿) 등을 모시는 경우와는 차이가 있다.

참고문헌

『서울의 민간신앙』(이재곤, 백산출판사, 1996)
『윈 슬롯민속논고(韓國民俗論考)』(장주근, 계몽사, 1986)
관련 윈 슬롯 (1)
집필자
김헌선(경기대학교, 국문학)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윈 슬롯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윈 슬롯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윈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