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파라다이스 금강반야바라밀경 ()

목차
관련 정보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
불교
문헌
국가유산
인도출신 역경승 구마라집이 번역한 『금강경』을 강금강의 시주로 1339년에 인출한 불교경전.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슬롯 파라다이스반야바라밀경(1984)(金剛般若波羅蜜經(1984))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사찰본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84년 05월 30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슬롯 파라다이스습니다.
목차
정의
인도출신 역경승 구마라집이 번역한 『금강경』을 강금강의 시주로 1339년에 인출한 불교경전.
내용

198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첩(帖). 목판본. 『슬롯 파라다이스경』은 고려 시대부터 우리나라 선가(禪家)에 널리 유통되어온 대표적인 대승경전으로, 소형 절첩장(折帖裝)인 이 경은 구마라집(鳩摩羅汁)이 번역한 것이다.

이 경의 앞에는 호법선신상(護法善神像) · 청법상(請法相) · 슬롯 파라다이스경계청(金剛經啓請) · 정구업진언(淨口業眞言) · 팔슬롯 파라다이스상(八金剛相) · 사보살상(四菩薩相) · 발원문이 있고 경의 뒤에는 후지(後誌)가 수록되어 있다. 이 후지에 의하면, 1311년(충선왕 3) 승려 각원(覺圓)이 여러 비구와 신사(信士)들과 함께 발원하여 홍준(洪准)이 쓴 소자본(小字本)에 의거, 개판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어서 범자(梵字) 불정심다라니(佛頂心陀羅尼) 등 짧은 주(呪) 7개와 여의인(如意印) 등 10개의 부적(符籍), 그리고 인성기(印成記)가 수록되어 있다. 이것은 1339년 강슬롯 파라다이스이 인출광포(印出廣布)할 때 새긴 것이다.

이 『슬롯 파라다이스경』은 가지고 다니면서 호신 및 독송하기 위하여 만든 수진본(袖珍本)으로, 고려 시대 불교신앙의 한 형태를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서울의 염청자가 소장하고 있다.

참고문헌

『국보』12 서예·전적(천혜봉 편, 예경산업사, 1985)
관련 슬롯 파라다이스 (1)
집필자
박상국(문화재관리국, 서지학)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슬롯 파라다이스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슬롯 파라다이스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슬롯 파라다이스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