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스 캐터 성호징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예조좌랑, 병조좌랑, 고산찰방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병여(炳如)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25년(인조 3)
사망 연도
1694년(숙종 20)
본관
창녕(昌寧)
주요 관직
예조좌랑|병조좌랑|고산찰방
관련 사건
경신대출척|갑술옥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스 캐터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예조좌랑, 병조좌랑, 고산찰방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병여(炳如). 성오(成澳)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성여용(成汝瑢)이고, 아버지는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성운한(成雲翰)이다. 어머니는 원진하(元振河)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66년(현종 7)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 의정부사록(議政府司錄)과 홍문관전적(弘文館典籍)을 지내고 예조·병조의 좌랑과 고산찰방(高山察訪)·함경도사(咸鏡都事)를 지냈다. 1672년에 사헌부지평, 이듬해 사헌부장령·사간원정언에 오른 성호징은 당시 같은 노론이던 민정중(閔鼎重)과 김만중(金萬重)·이숙(李䎘)·이선(李選) 등이 남인에게 몰려 슬롯 스 캐터 입게 되자, 구명 활동을 벌이다 슬롯 스 캐터 입어 강계에 유배되고 이듬해 풀려났다.

슬롯 스 캐터 즉위 직후 남인 윤휴(尹鑴) 등이 집권하자 두문불출하다가, 1680년(슬롯 스 캐터 6) 경신대출척으로 정언에 복직하였다. 1682년에는 동지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이어서 장령·지평을 거쳐 죽산부사 재임 시에는 선정을 베풀어 송덕비가 여러 개 세워졌다.

1684년 사간으로 있으면서 남인 허목(許穆)·홍만조(洪萬朝)·이현조(李玄祚) 등의 슬롯 스 캐터 논했고 이어서 동부승지·좌승지·판결사·형조참의·공조참의를 역임하였다. 1688년에 여주목사로 나갔다가 이듬해 기사환국으로 노론이 쫓겨나자 다시 두문불출하였다.

1694년 갑술옥사 뒤 민비(閔妃: 슬롯 스 캐터의 계비 인현왕후 민씨)가 복위되었으나, 남구만(南九萬) 등 소론파들의 집권으로 관직에 적극적인 참여는 못하고 다만 판결사에 제수되었다. 당쟁이 극심하여 노론으로서의 30여 년 관직 생활이 평탄하지는 못하였다. 개인적인 인품은 후덕하고 애군(愛君)·효친이 지극했다고 한다.

참고문헌

『현종실록(顯宗實錄)』
『슬롯 스 캐터실록(肅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한수재집(寒水齋集)』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집필자
박정자(전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스 캐터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슬롯 스 캐터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슬롯 스 캐터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슬롯 스 캐터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