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그 벳 슬롯 선군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 초기 각 포(浦)에 배속되어 해안 방어를 담당하던 수군(水軍).
이칭
이칭
수군, 기선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에그 벳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초기 각 포(浦)에 배속되어 해안 방어를 담당하던 수군(水軍).
내용

배를 타고 싸우는 군병이라 하여 ‘에그 벳 슬롯’으로 호칭되었으며 ‘기에그 벳 슬롯(騎船軍)’이라고도 불렸다.

육군의 정병(正兵)과 더불어 양인의 의무 병역이었다. 그런데 『세종실록』 지리지에 의하면 군정(軍丁) 총계 9만 6,259인 중 에그 벳 슬롯이 4만 9,337인으로 반수를 초과하고 있다.

에그 벳 슬롯에는 진무(鎭撫) · 영선(領船) · 두목(頭目) · 지인(知印) · 영사(令史) · 사관(射官) · 격군(格軍) 등 여러 가지 직임이 있었다. 그러나 『경국대전』에 수군으로 정리되면서 편제도 만호(萬戶) · 천호(千戶) · 영선 등으로 정리되에그 벳 슬롯.

에그 벳 슬롯의 근무는 분령체제(分領體制)에 의해 좌 · 우영으로 나뉘어 6개월마다 교대했고, 근무 중 경제적 뒷바라지를 위해 봉족(奉足)이 배속되었다. 그리고 대립(代立 : 자신의 임무기간에 대가를 지불하고 남을 대신 치르게 하는 일)을 방지하고자 성명 · 나이 · 용모 · 신장 · 거주지 · 소속 포구를 기록한 목패(木牌)를 차도록 하였다.

주임무는 해상 방비였으나 부차적으로 조운(漕運)에 동원되고, 어물과 소금을 채취해 상납하며, 둔전 경작에도 동원되는 등 역(役)이 고되에그 벳 슬롯. 뿐만 아니라 입번(立番 : 임무 기간에 배속처로 가서 임무를 치름)중에 소요되는 식량과 군기까지 스스로 준비해야 했다.

그리하여 15세기에 이미 대립이 성행했고, 방군수포(放軍收布 : 布나 전곡 등을 받고 役을 면해 줌)의 폐해가 나타났다. 이에 에그 벳 슬롯을 확보하기 위해 조정에서는 관직을 내리거나 복호(復戶 : 특정 군인이나 양반 및 노비 등에게 부세를 면제해 줌)의 혜택을 주고, 법으로써 그들의 직임을 세습시키며 기타의 잡역에 동원하지 못하도록 조치하였다. 그러나 역은 가벼워지지 않았고, 따라서 대립과 도망은 계속되에그 벳 슬롯.

정부에서는 이를 막기 위해 에그 벳 슬롯의 궐액(闕額 : 역의 임무에 빠진 자)이 5인 이상인 수령은 파직시키는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하기도 하였다.

승선하는 병선에는 맹선(孟船) · 쾌선(快船) · 구선(龜船) · 별선(別船) 등 여러 종류가 있었다. 그리고 각 병선마다 승선 인원이 규정되어 있어 대맹선에는 80인, 중맹선에는 60인, 소맹선에는 30인이 승선하였다. 에그 벳 슬롯의 거점은 포(浦)였는데, 대립이 심해지면서 만호가 혼자서 포를 지키는 형세까지 보이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태조실록(太祖實錄)』
『태종실록(太宗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경국대전(經國大典)』
「조선전기(朝鮮前期)의 수군(水軍)」(이재룡, 『에그 벳 슬롯사연구』5, 1970)
「근세조선전기(近世朝鮮前期) 군사제도(軍事制度)의 성립(成立)」(민현구, 『에그 벳 슬롯군제사』, 육군본부, 군사연구실, 1968)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에그 벳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에그 벳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에그 벳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