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 슬롯 트위터 석원사림 ()

불교
문헌
고려 전기의 승려, 의천이 불교의 역사적 사실을 집대성하여 편찬한 불교서.
• 본 항목의 딥 슬롯 트위터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전기의 승려, 의천이 불교의 역사적 사실을 집대성하여 편찬한 불교서.
내용

총 250권이었으나 현재는 권191∼195까지 5권을 합한 1책만 남아 있다. 의천은 불교의 귀중한 사기(事記) 등의 잡문(雜文)이 차츰 없어지고 있음을 애석하게 생각하여 이들을 집성하고자 하였다.

딥 슬롯 트위터를 수집하여 편찬에 착수하였으나 생전에 완성하지 못하였으므로 원경왕사(元景王師)와 문인 각순(覺純)이 힘을 합하여 편찬을 계속하였다. 몇 년 뒤 평(評)을 추가하고 종류별로 분류, 250권을 완성하여 왕으로부터 『석원사림』이라는 책 제목을 받았다.

이 책은 대부분이 산질되어 상세한 딥 슬롯 트위터을 알 수 없으나 총 250권 중 비문이 40권이었고, 또 현재 남아 있는 갈지(碣誌)가 1권, 뇌(誄)가 1권으로, 고승의 전기류가 6분의 1이 되므로 대부분이 석원(釋苑 : 佛家)의 비문(碑文)을 수록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편집체재는 중국의 고승전(高僧傳)들과 같이 승려의 덕업(德業)을 종류별로 나누었는데, 현재 유감(幽感)·권화(權化)·방달(放達)·유신(遺身)·고행(苦行)·신니(神尼) 등의 부분이 남아 있다. 현존하는 고승 32명의 전기는 승사연구(僧史硏究)에 중요한 딥 슬롯 트위터가 되고 있다. 현재 사본 1책이 일본 동양문고에 있고, 고려판 목판본 1책이 규장각 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고려대각국사(高麗大覺國師)와 천태사상(天台思想)』(조명기, 동국문화사, 1964)
집필자
김위석(전 경북대학교, 철학)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딥 슬롯 트위터는 자유 이용 가능한 딥 슬롯 트위터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딥 슬롯 트위터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