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감독 석류 ()

석류 / 이영도
석류 / 이영도
현대문학
문헌
중앙출판공사에서 이영도의 시조 90편을 수록하여 1968년에 간행한 시조집.
• 본 항목의 슬롯 감독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중앙출판공사에서 이영도의 시조 90편을 수록하여 1968년에 간행한 시조집.
개설

B6판. 148면. 작자의 제2슬롯 감독집으로, 1968년 중앙출판공사에서 간행하였다. 이 시집이 특이한 것은 시인의 오빠인 이호우(李鎬雨)와 함께 펴낸 오누이 슬롯 감독집 『비가 오고 바람이 붑니다』의 한 권이라는 점이다. 즉, 이 시집은 『석류』라는 독립된 표제와 내용을 지니고 있지만, 이호우의 작품과 함께 쌍을 이루면서 합본 시집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이 색다르다.(이호우 슬롯 감독집의 제명은 ‘휴화산(休火山)’이다.)

내용

제1슬롯 감독집 『청저집(靑苧集)』에 실었던 작품 일부를 재수록하고 그 이후의 신작들을 합쳐 펴낸 것이다. 시집 구성은 지은이의 근영(近影)·차례·본시·후기의 순서로 짜여 있다. 체제는 네 묶음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그 각각은 ‘아지랑이’·‘보리고개’·‘단란(團欒)’·‘백록담’ 등과 같은 소제목 아래 모두 90편이 수록되어 있다.

‘아지랑이’에는 「봄·1」 등 모두 21편이 수록되어 슬롯 감독데, 대체로 자연을 소재로 하여 삶의 정감을 형상화하고 있다. “어루만지듯/당신/숨결/이마에 다사하면/내 사랑은 아지랑이/春三月(춘삼월) 아지랑이/장다리/노오란 텃밭에/나비/나비/나비/나비”(「아지랑이」)와 같이 형태적으로 행갈이를 자주 하고 파격을 이룸으로써 형태적인 신선감을 주는 것이 주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보리고개’에는 「보리고개」 등 22편이 실려 슬롯 감독데, 대체로 삶의 고달픔을 노래하는 것이 주류를 이룬다. “사흘 안 끓여도/솥이 하마 녹슬었나/보리 누름 철은/해도 어이 이리 긴고/감꽃만/줍던 아이가/몰래 솥을 열어 보네”(「보리고개」)에서 보듯이 삶의 근심 걱정이 서정적으로 잘 형상화되어 있다.

‘단란’에는 모두 27편이 실려 슬롯 감독데, 대체로 일상적인 가족 관계 등을 중심으로 한 삶의 애환을 노래하고 있다. 끝으로 ‘백록담’에는 「한라산의 뇌임」·「피아골」 등 20편이 실려 슬롯 감독데, 이들은 대체로 기행시적인 성격을 지닌다.

의의와 평가

슬롯 감독집 『석류』는 고유의 민족정서와 생활 감각을 섬세한 언어로 형상화하는 현대슬롯 감독의 한 시범을 보여주었다고 하겠다. 또한 “다스려도 다스려도/못 여밀 가슴 속을/알 알 익은 孤獨(고독)/기어이 터지는 秋晴(추청)”(「석류」)처럼 내용과 형식을 밀도 있게 결합하여 슬롯 감독의 현대화에 기여하였다.

참고문헌

『이영도평전』(조현경, 영학출판사, 1984)
『이호우슬롯 감독집 ‘휴화산’』(중앙출판공사, 1968)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슬롯 감독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슬롯 감독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