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그 벳 슬롯 서체 ()

목차
관련 정보
삼척 척주동해비 및 평수토찬비 / 평수토찬비
삼척 척주동해비 및 평수토찬비 / 평수토찬비
서예
개념
글자의 모양과 양식 · 품격 등을 이르는 서풍(書風).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에그 벳 슬롯는 글자의 모양과 양식·품격 등을 이르는 서풍이다. 『설문해자』에 명기된 에그 벳 슬롯에는 예서, 초서, 진서(행서) 등이 있다. 이들 에그 벳 슬롯들은 번잡에서 간편으로, 완만에서 신속의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예서는 전서가 너무 복잡하여 고친 것이다. 초서는 후대로 내려오면서 빠르게 쓰게 되면서 나타났다. 또 행서는 해서와 초서 사이의 에그 벳 슬롯로, 알기 쉽고 간편하여 일상생활에서 많이 쓴다. 에그 벳 슬롯는 특유한 글자체의 기세가 예술적으로 어떤 느낌을 주느냐가 중요하다. 이는 한자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한글 같은 다른 문자에서도 같은 원리이다.

목차
정의
글자의 모양과 양식 · 품격 등을 이르는 서풍(書風).
내용

서법에 있어서문자는 대상이며, 에그 벳 슬롯는 수단, 즉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자체(字體)는 비록 시대에 따라 변화하지만 그 정확성이 변하여서는 안 된다.

에그 벳 슬롯 또한 자의(字義)가 달라져서는 안 되나 그 체세의 미에 있어서 중요성을 지녀야 하므로, 이것이 자체와 에그 벳 슬롯가 다른 점이다. ≪설문해자≫의 서에 명기된 자체 이외 에그 벳 슬롯·초서· 진서(眞書,행서) 등의 에그 벳 슬롯가 있는데,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 에그 벳 슬롯는전서에 이어서 이루어진 에그 벳 슬롯이다. 전서가 너무 복잡하여 이것을 쉽고 빠르게 고친 것으로 또 대전을 증감하였다. 정막(程邈)이 진시황 때의 사람이니 예서의 시작은 소전과 같다고 할 수 있다.

② 고례(古隷: 예서) · 진례(秦隷)는 대체로 같은 자체이나, 후세에 와서 명칭을 다르게 한 에그 벳 슬롯다. 이들 자체의 특징은 곧 체세를 이루지 않은 것으로 한대의 관지자체(款識字體)와 비슷하다. ③ 한례(漢隷)는 동한의 예서를 가리킨다. 이 자체가 예서 · 대례(大隷) · 진례와 다른 것은 모두 파책(波磔)의 도법(挑法)이 있는 에그 벳 슬롯다.

④ 팔분(八分)은, “팔분은 정례(程隷)의 2분(二分)과 이전(李篆)의 8분”이라는 채염(蔡琰)의 설에 의하면, 전서에 가까운 에그 벳 슬롯 된다. 장회관(張懷瓘)의 설에 의하면, 8분은 소전을 빨리 쓰는 에그 벳 슬롯며, 또 예는 8분을 빨리 쓰는 에그 벳 슬롯라 하였으니, 8분은 곧 소전에서 온 에그 벳 슬롯고 예서는 8분에서 유래한 것임을 말한다.

또, 오구연(吾丘衍)의 설은 8분은 한례의 도법이 없는 것으로 진례에 비하면 알기 쉽고, 한례에 비하면 전에 가깝다는 에그 벳 슬롯다.

이들 3인의 설에서 공통되는 것은, 8분은 소전 이후 한례 이전의 자체로서, 진례 · 고례가 곧 8분이다. 다만, 소자량(蕭子良)은 왕차중(王次仲)이 예서를 꾸며서 8분을 만들었다고 하였으니, 식례(飾隷)라는 것은 “예서로서 장식되었다. ”는 에그 벳 슬롯다.

이 말에 의하여 보면, 에그 벳 슬롯가 먼저이고 8분은 그 다음이 된다. 그렇다고 하면 소자량의 설은 마땅히 도법이 있는 한례에 해당하므로 앞의 3인의 설과는 상반된다. 다시 말하면, 도법이 없는 에그 벳 슬롯를 8분이라 하기도 하고, 또 이와는 반대로 도법이 있는 에그 벳 슬롯를 8분이라 하기도 한다.

⑤ 초례와 예초가 같은 하나의 예서인가, 또는 예로서 초솔(草率)한 것인가, 아니면 예서의 한 명칭인가 하는 에그 벳 슬롯 문제가 된다. 그러나 예가 모해적(模楷的)인 에그 벳 슬롯라면 이것은 초의(草意)를 띤 예서인듯하다. ⑥ 8분을 또 해(楷)라고도 하니 장회관 이전에는 그렇게 불렀다. ⑦ 예서를 또한 진서라고도 한다.

⑧ ≪당육전 唐六典≫의 주(注)를 보면, 당나라 때 예서라 하에그 벳 슬롯은 후세의 예서를 지칭하였다. 따라서, 당나라 때의 석경(石經)이나 약간의 비갈(碑碣)이 도법인 예서로 썼고, 이것을 8분이라 하였으며, 또 일반적으로 당례라고 한다. 그리고 당나라 사람들은 전적(典籍)이나 공문은 모두 후세에 말하는 당해로 썼다.

이상의 것을 종합하여보면 예서에는 고례[秦隷] 및 분례(分隷, 한례)의 두 종류가 모두 포함된다. 고례는 전서를 빨리 쓰에그 벳 슬롯으로 그 체는 방편(方扁)이고 파세가 없되 진나라 때 이미 있었으며, 서한에서는 이것을 통용하였다. 분례가 이에 이어 일어났는데 곧 고례가 변한 것으로, 결체(結體)는 거의 같지만 파책을 더하여 동한 때 성행하였다.

또, 예서의 명칭은 당나라에 이르기까지 사용되었으며, 그 에그 벳 슬롯는 동한 때에 일어나 점차 변화하였다. 점(點)과 탁(啄) · 도(挑) · 적(趯) 등의 획을 더하여 분례 이후 중요한 에그 벳 슬롯가 되었다. 이 체를 당나라 때는 예서라 불렀으나, 현재는 해서 혹은 진서(眞書) 및 정서(正書)라고 일컫는다.

‘초’자에는 두 가지 뜻이 있는데, 하나는 일종의 고정된 자체라는 뜻이며, 또 하나는 어떠한 자체의 초략(草略)한 사법(寫法)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이 초략한 사법은 자연히 생기는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기초(起草)하는 것으로, 문자를 서사(書寫)하되 시간을 줄여 빠르게 하는 에그 벳 슬롯 필요하므로, 공정(工整)함을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중국 창사(長沙)의 초묘(楚墓)에서 출토된 죽간(竹簡)과 서북지방에서 발견된 목간(木簡)에 나타난 자체는 대전의 초체(草體) 및 한례의 초체에그 벳 슬롯. 또, 전국시대의 동기(銅器)나 한대의 도기(陶器) 중에 쓰인 명문에서 이러한 초략된 자체를 볼 수 있다.

각 시대의 자체에는 모두 그 초체를 지니고 있어, 이들 초체자는 자연히 계속 변화하여 일종의 고정에그 벳 슬롯를 형성하게 된다. 그 가운데 장초(章草)가 가장 이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초는 사유(史遊)가 만들었다고 하나, 근래에 발견된 한대의 목간 중에 선제(宣帝) 때 이미 장초의 에그 벳 슬롯가 보인다.

이렇게 볼 때, 장초의 에그 벳 슬롯는 점차로 변화한 것이지 사유가 독창적으로 만든 것은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사유는 다만 자연적으로 변화하여온 자체를 정리하여 하나의 자서(字書)를 엮었을 뿐이다. 예서는 전서를 빠르게 쓴 것이며 장초는 또 예서를 빠르게 쓴 것이다.

그렇지만 장초가 한례와 다른 점은 예서의 경개(梗槪)를 지니면서 예의 규구(規矩)를 줄였다는 점이다. 예의 경개란 곧 글자마다 독립되면서 결체는 모나고 납작하며, 필획은 서로 연속됨이 없고 예필의 파책을 보류하에그 벳 슬롯을 말한다.

그리고 예의 규구를 줄였다는 것은 분례의 점획을 생략하였다는 것으로 자체에 상당한 변화가 엿보인다. 한편, 장초가 분례에서 생겼다면, 초서는 장초에서 나온 에그 벳 슬롯다. 일반적으로 초서라고 하면 정확하게는 금초(今草)를 말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해서 중에서 가장 이른 것으로는 위(魏)의 종유(鍾繇)의 법첩을 드는데, 여기에서 보이는 해서 또한 이미 성숙된 경지이므로, 그 이전에 해에그 벳 슬롯가 시작되어 상당한 발전을 보았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일설에 의하면, 해서는 정막으로부터 비롯되었다고 하나 믿기 어렵다. 옹방강은 해서의 특징을, “에그 벳 슬롯의 파획(波畵)을 변화하여 여기에 점 · 탁 · 도 · 적을 더하였으나, 여기에는 고례의 횡(橫)과 직(直)은 남아 있다. "고 하였다. 그러나 자세히 보면, 해서는 에그 벳 슬롯와 초서가 합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행서는 해서와 초서 사이의 에그 벳 슬롯이다. 장회관은 “정서(正書)를 조금 바꾸어 쉽게 하려고 점 · 획 사이에 흘러가는 필의로 썼기 때문에 행서라 하며, 또 이것을 행압서(行押書)라고도 한다. ”고 하였다. 이 에그 벳 슬롯는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전하여져서 알기 쉽고 더욱 간편하여 일상생활에 가장 많이 쓰인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각 시대의 에그 벳 슬롯의 변화를 한마디로 말한다면 번잡에서 간편으로, 완만에서 신속으로 변화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옛 글자는 대부분 필획이 복잡하였으나 후대로 내려올수록 간단하여졌다.

그리고 글씨를 쓰는 데 있어서도 애초에는 ‘일필일획(一筆一劃)’으로 서로 이어지지 않아서, 결구상 비록 교차하거나 접촉되어도 필획은 모두 하나하나 독립되어 서로간에 이어지는 필세가 없었다.

그러나 후대로 내려오면서 빠르게 쓰게 되면서 대필(帶筆) · 파책 등의 필세가 자연히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그 벳 슬롯 바로 초서가 나타나게 된 배경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어느 시대의 어떤 에그 벳 슬롯로 문장을 썼다고 할 때, 그 특유한 체세가 예술적으로 어떠한 느낌을 줄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 이러한 느낌은 에그 벳 슬롯의 형태에서 오는 것이며, 그 문자가 함유하고 있는 뜻에서 오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자체와 에그 벳 슬롯의 관계는 한문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한글이나 일본의 가나(假名), 서양의 알파벳, 중동의 아랍문자 등 어떠한 문자에 있어서도 변하지 않는 원리인 것이다.

한글도 한자와 서법상의 문제는 하나도 다른 에그 벳 슬롯 없다. 세종이 제정한 훈민정음은 모두 28자의 간결한 부호이다.

이들 28자는 초성 · 중성 · 종성으로 나누어지는데, 종성은 천(天) · 지(地) · 인(人)의 3재(三才)를 기본으로 하였고, 초성과 종성은 아(牙) · 설(舌) · 순(脣) · 치(齒) · 후(喉)의 5음으로 나누었다. 그러나 이들 글자는 고전(古篆)을 본받았기 때문에 모두가 원필이며 전서의 필법을 알면 글자 쓰기가 쉽다.

훈민정음≫이 반포된 1443년 이후 원필이었던 필획이 방필로 변화됨과 함께 ‘글’ 이외의 ‘글’, 예를 들면 글 · 글 · 글 · 글 · 글 · 글 · 글 · 글 등이 ㅏ · ㅗ · ㅓ · ㅜ · ○ · ㅛ · ○ · ○로 모두 횡획(橫畵)이나 수획(竪畵)으로 변하면서 수획에는 횡획으로, 횡획에는 수획으로 이어지게 된 에그 벳 슬롯 특색이다.

또한, “글자는 고전을 본받았다(字倣古篆). ”라 한 것으로 미루어볼 때, 한글의 형태는 장(長) · 방(方) · 편평(扁平)이 그 구성에 있어서 자유롭다는 것이며, 또 원과 방으로 나누어지는 필법이 성립된다는 것은 곧 모든 서법이 활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판본체(版本體)와 필사체(筆寫體)로 구분되는 한글에그 벳 슬롯는 한자의 전 · 예 · 해 · 행 · 초의 변화과정을 아주 짧은 시간에 이룬 것이라 할 수 있다.

초기의 ≪훈민정음≫의 원필에서 < 용비어천가> · ≪동국정운(東國正韻)≫의 방필로의 변화과정은 한자의 전서에서 에그 벳 슬롯로 변하는 과정과 다를 바 없다. 그리고 세조 때에 이르면 해서의 기분이 나는 필사의 형태가 싹텄는데, 필사체의 결정판이라고 할 수 있는 궁체의 실마리가 여기에서부터 태동된 에그 벳 슬롯었다.

국한문이 혼용되는 판본체는 모두 문자의 중심을 맞추므로 결구에 있어서도 한자와 같다. 그러나 궁체는 한글만을 쓰게 되면서 이루어진 에그 벳 슬롯이므로 줄의 오른쪽을 맞추고, 왼쪽은 들쭉날쭉하게 하여 아름다움을 나타내었기 때문에, 문자의 중심을 맞추는 한자와 섞어서 쓸 때 서로 어울리지 않는다는 점이 하나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궁체란 본래 궁중의 여성사회에서 발달한 서사체(書寫體)로, 필획이 곱고 아름다우면서 구성면으로는 우아하고 유려하여, 한자의 해서 · 행서 · 초서의 특징을 그대로 갖추고 있다. 또한, 궁체는 한글만을 쓰게 되면서부터 줄의 중심에서 오른쪽을 맞춘다는 원칙이 성립되었다.

그것은 초성 · 중성 · 종성으로 이루어지는 한글은 가장 눈에 띄는 'ㅣ'를 연속하여 쓴 것인만큼 'ㅣ'를 연속하여 썼을 때, 오른쪽이 고르게 한 줄 위에 놓이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즉, ㅏ.ㅓ나 ㅑ.ㅕ의 종성에 붙는 초성이 모두 왼쪽에 있으므로 ㅏ.ㅑ의 오른쪽 점보다 왼쪽의 초성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ㅏ.ㅓ.ㅑ.ㅕ 모두 수획인 'ㅣ'를 맞추어 종적(縱的)인 미에 치중하지 않을 수 없었던 에그 벳 슬롯다.

그리고 ㅡ.ㅗ.ㅛ 등에 붙는 초성이나 종성은 중성인 'ㅡ'보다 작게 아래위로 위치하게 되므로, 저절로 'ㅣ'와 연결되었을 경우 'ㅣ'의 종선보다 오른쪽으로 비껴 나올 수 없다는 점에서 오른쪽 종선을 맞추었을 때 자연스럽게 어울리게 된다.

필사체인 궁체에 있어서도 글자모양의 길고 짧음은 비교적 자유로워서 판본체의 그것과 다를 에그 벳 슬롯 없으나, 필획의 조세(粗細)가 고르지 않은 에그 벳 슬롯 판본체와 다른 점이다. 궁체에는 정자 · 흘림 · 진흘림의 구분이 있어서 한자의 해 · 행 · 초에 해당되고, 그 변화나 특성은 모두 한자의 해서에 해당되는 정자와 같다.

또, 흘림은 행서와, 진흘림은 초서와 같다. 또, 궁체는 서간체와 등에그 벳 슬롯(謄書體)로 나누게 되는데, 앞에 든 것을 에그 벳 슬롯의 구분이라고 한다면 이러한 구분은 형태, 즉 서풍(書風)의 구분이라고 할 수 있다.

서간체는 다시 글월과 봉서(封書)의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글월은 간단한 문안편지로서 밖에서 궁중으로 올리는 에그 벳 슬롯며, 이와 반대로 궁중에서 밖으로 보내는 것은 답글월이라 한다. 또한, 봉서도 궁중에서 밖으로 나오는 것은 답봉서라 하는데, 여기에는 대전(大殿)이나 중전(中殿)의 어필(御筆)이 있고, 또 나인들의 대서(代書)도 있어 다양하며, 글월보다는 장문으로서 더욱 우아하며 정중한 점이 특징이다.

한편, 판본체에서는 훈민정음 제정 당시의 제자원리(制字原理)에 부합되는 활자로 원필과 방필이 있음은 이미 앞에서 지적한 바 있으나, 점차 필사의 점과 획의 취향을 지니는 활자가 나와서 유려한 맛을 띠게 되었다. 이러한 것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은 경서의 언해본(諺解本)으로, 등에그 벳 슬롯와는 달리 행간은 물론 글자간의 간격이 일정하며 비교적 글자의 중심을 맞추려고 한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판본으로서 언해류가 아닌 소설류에 있어서는, 궁체의 등에그 벳 슬롯와 유사하면서 더욱 난초(亂草)로 세속화된 것들이 있다. 이것들은 대체로 목판으로서 지방판들이 많은데, 각자(刻字)하기에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결국, 한글서법은 글자의 중심을 맞추는 것과 오른쪽을 종선 위에 놓이도록 하는 에그 벳 슬롯 가장 큰 특징임을 알 수 있다. 중심을 맞춘다는 것은 국한문 통용에 중요한 방법이 될 뿐 아니라, 훈민정음 자체가 고전을 모방하였으므로 본래 한글도 한자와 같이 글자의 중심을 맞추게 된 에그 벳 슬롯다. 이러한 성격은 역대의 언해자에서 모두 공통되는 점이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