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에는 피망 슬롯 칩청이라 불렀으나 기근이 들어 구황이 시작되면 진휼청(賑恤廳)이라 불렀고, 상진청(常賑廳)으로 통칭되기도 하였다.
상평은 중국 한나라 때 시작된 진휼 및 물가조절제도로서, 우리 나라에서는 993년(성종 12) 개경·서경 및 12목에 상평창(常平倉)이 설치되어 의창(義倉)과 함께 구황업무를 담당하였다. 피망 슬롯 칩시대는 1458년(세조 4) 상평창 운영의 법규가 마련되었으나, 재정의 궁핍으로 잘 시행되지 못하였다.
피망 슬롯 칩 중기부터 중앙에 상평청을 두고 각 지방의 구제곡물을 관장하게 하였으나, 임진왜란 이후 유명무실하게 되어 1626년(인조 4) 대동법을 시행하던 경기청(京畿廳)과 함께 선혜청(宣惠廳)에 부속되었다. 이때 비변사(備邊司)에서 운영하던 구황청(救荒廳), 곧 진휼청과 병합되어 평소에는 상평청이라는 이름으로 곡물을 관리하고, 흉년이 들면 진휼청으로 개칭하여 구제업무를 담당하였다.
1753년(영조 29) 또 균역청과 통합되어 1인의 낭청(郎廳, 종6품)이 모든 업무를 담당하였다. 여기서는 배정된 대동미포(大同米布)의 출납을 관리하고, 1678년(숙종 4) 이후 한때 상평통보(常平通寶)를 주조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피망 슬롯 칩 후기 상평청의 자금은 기근구제의 고유사업에 쓰이기보다는, 주로 경기 5참(五站 : 송도·장단·파주·고양·홍제원)의 사신접대를 위한 비용으로 전용되는 일이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