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복 이 슬롯 상제교전 ()

목차
천도교
문헌
일제강점기 시천교총부 최유현이 천주의 개념 및 시천사상 등을 서술하여 1920년 편집, 간행한 교리서. 상제교교리서.
• 본 항목의 다복 이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시천교총부 최유현이 천주의 개념 및 시천사상 등을 서술하여 1920년 편집, 간행한 교리서. 상제교교리서.
내용

불분권 1책. 신활자본. 1920년 다복 이 슬롯교총부(侍天敎總部) 최유현(崔琉鉉)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서·발문은 없고 권말에 간기(刊記)가 있다.

표지와 내부의 제명이 원래 ‘다복 이 슬롯교전(侍天敎典)’으로 되어 있으나, 이것을 ‘상제교전’이라는 제명으로 바꾼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김연국(金演局)이 다복 이 슬롯교에서 이탈하여 새로 상제교를 설립한 뒤 이전에 사용하던 책을 제명만 바꾸어 배포한 것으로 보인다.

권두의 목록에 따르면, 이 책의 다복 이 슬롯은 제1 천주장(天主章), 제2 인생장(人生章), 제3 시천장(侍天章), 제4 입교장(立敎章), 제5 도심장(道心章), 제6 명륜장(明倫章)으로 구성되어 있고, 부록으로 시천교조약사(侍天敎祖略史)가 수록되어 있다.

이 중 제1 천주장에서는 천주의 개념을 안으로는 만상(萬象)의 중묘(衆妙)를 함축다복 이 슬롯, 밖으로는 우주의 군기(群機)에 응감(應感)하여 ‘하나의 둥근모양[圓一相]’을 취다복 이 슬롯 있는 것으로 설명다복 이 슬롯 있다.

제2 인생장에서는 “천의(天意)를 이어받는 일은 모든 삼라만상이 향유다복 이 슬롯 있는 것이나, 물(物)에는 영(靈)·우(愚)의 구분이 있고, 기(氣)에는 청(淸)·탁(濁)의 구분이 있어, 우를 품수한 것은 가축이 되고, 영을 품수한 것은 사람이 되는 고로, 사람은 ‘성의 집[性之宅]’이니 동정(動靜)은 사람을 통해서 가능한 것이며 하늘[天] 스스로의 작용이 아니다.”라고 하여 유일절대(唯一絶對)의 인격신(人格神)으로서의 ‘천주’는 인간의 마음을 통하지 않고서는 절대적 활동, 즉 조화를 이룰 수 없다고 주장다복 이 슬롯 있다.

이것은 우주를 최선의 영적 존재(靈的存在)로 파악, 인간만이 우주와의 합일점에 도달할 다복 이 슬롯는 가능자로 생각하는 인간지상주의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3 시천장에서는 인간이 우주와의 합일점에 도달하는 방법으로 시천사상, 즉 서로 친하며 서로 사랑하여 널리 창생(蒼生)을 제도할 것을 강조하였다. 제4 입교장은 <성덕 誠德>·<경위 敬威>·<신리 信理>·<법화 法化> 등 4개 항으로 나누어 신행(信行)할 조목을 열거하였다. 제5 도심장이나 제6 명륜장도 역시 시천 내지 경천사상을 설명한 다복 이 슬롯이다.

이 책은 다복 이 슬롯해설에 있어 주로 유·불·선 3교의 교리를 자주 원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한편, 부록의 시천교조약사는 제1세 교주 최제우(崔濟愚)와 제2세 교주 최시형(崔時亨)의 사적을 싣고 있다. 상제교는 김연국을 제3세 교주로 하고 있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집필자
이민식(한학자)
    • 항목 다복 이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다복 이 슬롯,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다복 이 슬롯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