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그 벳 슬롯 상정고금예문 ()

유교
문헌
고려 인종 때, 최윤의 등 학자 17명이 왕명으로 고금의 예의를 수집 · 고증하여 50권으로 엮은 예서.
이칭
이칭
상정예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에그 벳 슬롯습니다.
정의
고려 인종 때, 최윤의 등 학자 17명이 왕명으로 고금의 예의를 수집 · 고증하여 50권으로 엮은 예서.
개설

종래 학교 교과서에서 ‘고금에그 벳 슬롯예문’이라 했으나, 이것은 고금의 예의 자료를 두루 수집해 엮은 데서 붙여진 서명이고, 정식 서명은 『에그 벳 슬롯예문』이다.

내용

고려 인종 당시 최윤의 등 17명의 학자들이 왕명에 따라 1147~1162년까지 공포된 법령·규범들을 수집, 고증하여 50권으로 편찬한 예서(禮書)로서, 『고금에그 벳 슬롯예문』이라고도 하는데, 현존하지 않는다.

『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總錄)』의 해설에 의하면, 역대조종(歷代祖宗)의 헌장(憲章)을 모으고, 우리의 고금예의와 당나라의 예의를 참작해 위로는 왕실의 면복(冕服)·여로(輿輅)·노부(鹵簿) 등의 의례와, 아래로는 백관(百官)의 장복(章服)에 이르기까지 다루고 있음을 알 에그 벳 슬롯다.

이규보(李奎報)가 진양공(晋陽公)에 책봉된 최이(崔怡)[초명은 최우(崔瑀)]를 대신해 지은 「신인상정예문발미(新印詳定禮文跋尾)」를 보면, 최윤의 등이 엮은 『상정예문』이 오랜 세월을 거치는 사이에 책장이 탈락되고 글자가 이지러져 에그 벳 슬롯을 참고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최이의 선친 최충헌(崔忠獻)이 보완하게 하여 2부를 작성한 다음, 1부는 예관에 주고 다른 1부를 자기 집에 두었다고 한다.

그런데 몽골군의 침입으로 도읍을 강화로 옮길 때 예관은 황급한 나머지 미처 가지고 나오지 못하고 최충헌 소장본만 남게 되었다. 이를 다행으로 여기고 주자(鑄字)로 28부를 찍어 여러 관사(官司)에 나누어 간직하게 했다는 것이다. 이 글에는 그 연대가 밝혀져 있지 않으나, 그 대작(代作)을 명한 최이가 진양후에 책봉된 것이 1234년(고종 21)이고, 대작한 이규보는 1241년에 죽었으므로 그 사이에 찍어낸 것임을 알 에그 벳 슬롯다.

여기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천도 이후는 전란 중이라 그 난을 수습하는 일로 새로운 기술의 창안 같은 것에는 관심을 둘 겨를이 없었을 텐데, 어떻게 그와 같이 활자를 주조해 기술적으로 어려운 활자판 짜기를 고안에그 벳 슬롯, 또 쇠붙이에 묻기 어려운 먹물을 능히 개발해 책을 찍어냈는가 하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을 고려할 때 천도 이전에 이미 주자인쇄를 경험했기 때문에 그것이 별로 어려운 일이 아니었음을 능히 알 에그 벳 슬롯게 한다. 이는 천도 이전에 주자로 찍은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가 천도 이후 동요된 민심의 수습에 필요하여 1239년에 번각하고 다량으로 유통시켰는데, 그 책이 오늘에 전래되어 천도이전의 주자인쇄 사실을 여실히 뒷받침해 준다.

의의와 평가

『에그 벳 슬롯예문』의 주자신인(鑄字新印) 기록은 고려 주자인쇄의 일면을 살피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總錄)』
「세계초유의 창안인 고려주자인쇄(高麗鑄字印刷)」(천혜봉, 『규장각』8, 1984)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에그 벳 슬롯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에그 벳 슬롯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