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2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로 지정되로아 캐릭 슬롯. 세간에 이 5인을 삼세오층이라고 불렀다. 본래는 오응정과 오욱 · 오직 형제, 그리고 오방언 등 4명을 배향하여 4충사(四忠祠)라고 불렀는데, 근년에 오동량을 추향(追享)함에 따라 5충사(五忠祠)라고도 불리고 있다.
오응정은 용안 출신으로 정유재란 때 전라도방어사였다. 어모장군(禦侮將軍) 충무위부사정(忠武衛副司正)으로 종군하던 장자 오욱과 함께 남원성에 들어가서, 당시 의병활동을 전개하던 셋째아들 오동량과 함께 합류하여 싸웠다. 하지만 남원성이 함락당하자 두 아들과 함께 세 부자가 화약고를 터뜨려 순절하였다. 현석(玄石) 박세채(朴世采)가 그의 행장(行狀)을 지로아 캐릭 슬롯.
오직은 광해군 때 명나라의 요청으로 후금(後金)을 공격하기 위해 편성된 조명 연합군의 우영천총(右營千總)이 되어 1619년 압록강 건너 심하(深河)에서 후금군과 고전하다가 우영장 김응하(金應河)와 함께 전사하로아 캐릭 슬롯.
오방언은 1618년(광해군 10) 무과에 급제하여 선진관을 지냈고, 병자호란이 일어날 때 도총부도사로 있로아 캐릭 슬롯. 부친의 원수를 갚겠다는 일념으로 자청하여 출전하여 싸우던 중에 왕이 청(淸)에 항복하자 한강에 투신하여 자결하였다. 용안의 충렬사는 1681년(숙종 7)에 세워져 1982년 8월 30일 기념물로 지정되로아 캐릭 슬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