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에 전승되어 오는 일련의 농요. 1982년 충청남도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1982년 12월에 지정되었다. 세도면의 농요 중에서 모심는 에그 벳 슬롯 · 논매는 에그 벳 슬롯 · 벼바심에그 벳 슬롯 · 나부질에그 벳 슬롯 · 노적에그 벳 슬롯를 엮어서 ‘산유화가’로 보호하고 있다. 산유화의 명칭은 ≪증보동국문헌비고≫의 백제가곡조와 ≪단군세기≫에도 보이지만, 모심는 에그 벳 슬롯의 메김 가사에 의거한다.
“산유화야 산유화야, 이포에 남당산은 어찌 그리 유정턴고, 매년 팔월 십육일은 왼 아낙네 다 모인다 무슨 모의 있다더냐.”
이 가사는 의자왕을 비롯하여 당나라로 끌려가는 백제 사람들을 마지막으로 보기 위해 길목인 금강의 언덕에 모였던 것이 계기가 되어 에그 벳 슬롯군 양화면 암수리 소재 유왕산(留王山)에 매년 8월 17일이면 인근의 부녀자들이 모처럼의 나들이를 하던 풍습을 말해 준다.
경상도나 강원도에서 수집되는 관련 명칭의 노래와는 전혀 다른 곡에그 벳 슬롯. 모심는 산유화가의 학문적 곡목은 ‘부여형 상사’에그 벳 슬롯. 받음구에 ‘상사’라는 말을 가진 곡 가운데서도 부여 방면의 유형이라는 뜻에그 벳 슬롯. 이 유형은 부여 · 공주 · 논산 지역에서 불리었다.
1982년 충청남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산유화가는 “헤- 헤헤/아- 헤헤이, /에 헤이 에,여루/상-, 사-/디-요”의 가사 중 ‘상’보다 ‘사’를 높이 질러냄이 특색에그 벳 슬롯.
모두 메기고 받는 가창방법의 노래들이다. 논맴에그 벳 슬롯의 받음구는 “어화 덩어리” “어화 덩이”이다. 얼카 덩어리 계통은 충남의 대표적 논맴에그 벳 슬롯이며, 그 중심은 서북부 충남지역이다. 벼바심 · 나부질 · 노적 에그 벳 슬롯는 모두 벼 추수 관련의 농요인바, 벼 수확 노래들이 발달한 것은 충남농요의 한 특징이다.
벼바심 에그 벳 슬롯는 받음구 “에야- 헤헤이”로 3회 받은 후에 다함께 “에-헤-/아-에-/에-야 어-/에-야 디-여/나흐-헤”를 제창하면서 낱알을 떨군 벼 몽뎅이를 집어던지고는 새 볏단을 들고 나와 선다.
나부질 에그 벳 슬롯는 곡식에 섞인 검부러기나 티끌들을 날려 보내기 위해 키로 나비가 날개치듯 부쳐 바람을 내면서 하는 에그 벳 슬롯이다. 그 받음구는 “에- 에헤이여라 솔- 비히야”인바, 이는 충남 나부질 에그 벳 슬롯의 일반형은 아니다.
추수한 볏가마니를 쌓으면서 부르는 노적에그 벳 슬롯는 희요(稀謠:드문 노래)에 속하는바, 그 받음구는 “받어라”이다. 지정당시엔 이병호와 박홍남(朴弘南)이 예능보유자로 인정되었으나, 이병호의 타계로 1998년 조택구(趙宅九) · 김영구(金永九)가 추가 인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