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도 어 슬롯 강화 산연화총 ()

중국 길림 연화총 정면
중국 길림 연화총 정면
선사문화
유적
중국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集安市) 우산(禹山) 남쪽 기슭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연꽃무늬 관련 벽화무덤. 굴식 돌방무덤. 횡혈식석실분.
• 본 항목의 섀도 어 슬롯 강화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중국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集安市) 우산(禹山) 남쪽 기슭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연꽃무늬 관련 벽화무덤. 굴식 돌방무덤. 횡혈식석실분.
내용

분구는 방대형이고 밑둘레의 한변 길이는 6.06m이며 높이는 약 3.03m이다.

섀도 어 슬롯 강화의 구조는 앞방 남벽 중앙에 달린 널길(길이 1.85m, 너비 1.12m, 높이 0.79m)과, 장방형의 앞방(길이 1.24m, 너비 3.27m, 높이 1.39m), 앞방과 섀도 어 슬롯 강화 사이에 걸친 통로(길이 0.79m, 너비 1.15m, 높이 0.79m), 방형의 섀도 어 슬롯 강화(동서길이 3.24m, 남북길이 3.39m, 높이 2.45m)으로 이루어진 두방무덤[二室墳]이다.

천장 가구는 앞방은 천장부의 내면이 고르게 둥근 호선을 이루면서 좁혀 올라간 궁륭천장(穹窿天障)이고, 섀도 어 슬롯 강화은 천장부의 내면을 계단식으로 좁히고 그 위에 3각 굄돌을 놓아 다시 좁힌 다음에 뚜껑돌[蓋石, 天障石]을 덮은 궁륭3각굄 천장이다.

섀도 어 슬롯 강화은 막돌을 쌓아 축조하였으며 그 위에 약 3㎝ 두께로 회칠하였다. 벽화의 내용은 장식무늬이고 그 배치상태는 섀도 어 슬롯 강화의 네 벽 모서리에 섀도 어 슬롯 강화을 목조건물과 같이 보이게 하기 위하여 기둥과 두공 및 도리를 그렸으며, 네 벽에는 큼직한 만개연화문(滿開蓮花文)을 배치하고 천장부의 굄돌에는 측면 방향으로 도식화시킨 부채 모양의 반개연화문(半開蓮花文)을 그려 장식하였다.

네 벽에 그린 만개연화문은 삼실총(三室塚)의 것과 같고, 천장부를 장식한 반개연화문은 무용총(舞踊塚)의 것과 같다. 이 벽화고분을 산연화총이라고 이름지은 것은 묘실을 장식한 연화문이 있어서이다. 이렇게 무늬로만 섀도 어 슬롯 강화 안을 장식한 벽화고분에는 환문총(環文塚)·귀갑총(龜甲塚) 등이 있다.

참고문헌

「고구려고분섀도 어 슬롯 강화의 기원에 대한 연구」(김원룡, 『진단학보』21, 1960)
『朝鮮の建築と藝術』(關野貞, 岩波書店, 1941)
『朝鮮古蹟圖譜』1(朝鮮總督府, 1915)
관련 섀도 어 슬롯 강화 (2)
집필자
김기웅
    • 항목 섀도 어 슬롯 강화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섀도 어 슬롯 강화,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섀도 어 슬롯 강화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섀도 어 슬롯 강화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