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악장 중 속악의 하나이다. 『고려사』 권71 악지(樂志) 속악조와 권125 열전(列傳) 38 간신 오잠(吳潛)조에 5언절구의 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로 ‘신성(新聲)’이라 하여 수록하였다.
『고려사』에 따르면 이 작품은 충렬왕 때에 지어진 노래로서, 간신 오잠의 무리가 왕과 더불어 궁중의 연악(宴樂)으로 즐기기 위해 재래의 전승민요를 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로 새로이 개작한 것이다. 오잠의 무리들은 가무(歌舞)에 능한 남장별대(男粧別隊)를 조직해서 그들에게 이 노래를 가르쳐 밤낮으로 즐겼다고 한다.
이때 「삼장(三藏)」도 함께 즐겼는데 이는 속요인 「쌍화점(雙花店)」 2연과 거의 일치하되 우리말 노래를 7언절구의 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로 새로 개편해 부른 노래이다. 이러한 점에서 신성의 뜻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사룡」은 한역시가 아니라 전승민요를 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로 개작한 가요임을 알 수 있다. “뱀이 용의 꼬리를 물고서 태산의 묏부리를 지나갔다고 들었노라(有蛇含龍尾聞過太山岺) 만 사람이 각각 한 마디씩 한다 해도 짐작하는 것은 두 마음에 달려 있노라(萬人各一語斟酌在兩心)”라고 개작한 「사룡」의 근원이 되었던 전승민요의 모습을 다음과 같은 사설시조에서 짐작할 수 있다.
“개야미 불개야미 ᄌᆞᆫ등 부러진 불개야미 압발에 疔腫 나고 뒷발에 죵귀 난 불개야미/廣陵 ○재 너머 드러 가람의 허리를 ᄀᆞ르 무러 추혀들고 北海를 건너닷 말이 이셔이다/님아 님아 온 놈이 온 말을 ᄒᆞ여도 님이 짐쟉ᄒᆞ쇼셔.”
이로써 보면 이와 비슷한 내용의 전승민요가 고려 후기에 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의 궁중속악으로, 그리고 조선시대에 사설시조로 장르가 전환되어 수용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