던파 온 슬롯 계족산 비래암 ( )

목차
관련 정보
비래암
비래암
불교
유적
대전광역시 대덕구 계족산(鷄足山)에 있는 조선시대 회덕 송씨 종친 관련 암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던파 온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대전광역시 대덕구 계족산(鷄足山)에 있는 조선시대 회덕 송씨 종친 관련 암자.
내용

대한던파 온 슬롯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조선 중기에 회덕송씨(懷德宋氏)의 종친들이 고승 학조(學祖)에게 부탁하여 창건한 암자로서, 법당의 ‘飛來庵(비래암)’ 현판은 송시열(宋時烈)이 썼다고 전한다.

그 뒤 1647년(인조 25)에 중수하였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인법당(因法堂)을 비롯하여 산신각 · 요사채 등이 있다. 절 앞뜰에는 300여년이 넘은 향나무가 있고, 산신각 뒤에는 앞산의 봉우리에 있는 암사자바위를 바라보며 수사자가 웅크린 모습과 같은 바위가 있다.

절 입구에는 석주(石柱)를 세워 건립한 옥류각(玉榴閣)이 있는데 절의 산문(山門)에 해당하며, 1989년 대전광역시 유형던파 온 슬롯재(현, 유형던파 온 슬롯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절은 일찍이 송시열을 비롯한 많은 유생들이 노닐면서 공부하던 곳으로 알려져 있고, 송씨 문중 종친들의 기도처로도 이용되었다.

참고문헌

「비래암고사기(飛來菴故事記)」
『범우고(梵宇攷)』
『내 고장의 뿌리』(대덕군, 1981)
『충청남도지』(충청남도, 1979)
관련 던파 온 슬롯 (1)
집필자
박상국(문화재관리국, 서지학)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던파 온 슬롯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던파 온 슬롯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던파 온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