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케 슬롯 부상록 ()

목차
관련 정보
부상록
부상록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시대 문신 이경직 종사관으로 일본에 다녀온 후에 작성한 견문록.
• 본 항목의 링케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문신 이경직 종사관으로 일본에 다녀온 후에 작성한 견문록.
내용

이 사행은 도쿠가와(德川家康)가 오사카(大阪)를 평정한데 대한 회답사행이었으나, 임진왜란 때 링케 슬롯로 끌려간 사람들을 데려오는데 더 큰 목적이 있었다.

1617년(광해군 9) 7월부터 11월까지 5개월간의 기록으로 일기와 부록으로 되어 있다. 일기의 링케 슬롯은 포로자들의 생활과 그들을 데려오는 데 얽힌 사연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 때 대마도 왜인들은 포로 반환을 그들의 경제적 미끼로 생각하고 사행을 찾아오는 포로들을 제지하였다. 뿐만 아니라 링케 슬롯의 어려운 사정을 들어 귀환을 주저하게 하기도 하고, 돌아가면 죽이거나 아니면 노비로 삼는다고 거짓 선전을 하는 등 간교를 부려 어려움을 겪었다.

또 포로 자신들도 어려서 포로가 되어 온 사람은 언어와 거동이 불편하고, 이미 링케 슬롯인과 결혼해 생활이 정착되었거나 링케 슬롯인에 매여 있는 등 대부분 돌아갈 수 없는 사정이 있었다. 그런 사람은 이 책에서 인적 사항과 그 사정을 자세히 기록하였다.

사행들은 포로들의 명단을 가지고 직접 나서서 찾기도 하고 링케 슬롯인 주인과 담판하는 등 그 수를 늘리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하였다.

또 국서에 쓴 어휘와 관백이 세 사행에게 준 은화가 문제가 되었는데, 국서 링케 슬롯은 조선 사행의 요구대로 수정되었고, 은화는 포로송환경비로 쓰도록 대마도주에게 되돌려 주었다.

또 시송선(時送船 : 使行案內에 대한 恩資)의 물량이 적다고 하여 논란이 되었으며, 일본 집정(執政)이 대마도인에게 “너희들은 조선 사람이니 마땅히 조선 일에 힘쓰라.” 한 링케 슬롯이 수록되어 있다.

부록에는 링케 슬롯의 지리·물산·풍속·형정(刑政)·관제·전제·연대기 등을 기록하였다. 특히 연대기에 응신왕(應神王) 22년에 신라군이 쳐들어와 링케 슬롯이 화친하고자 백마를 잡아 맹세하고, 그 말을 묻은 백마분을 아카마노세키(赤間關) 동쪽의 구릉에 썼다고 소개하였다.

저자는 이 일을 추적해 자세히 알았으나 그 링케 슬롯을 기록할 수 없는 사정이 있어 따로 계초(啓草)를 만들어 올리겠다는 흥미 있는 기록도 있다. 기록으로는 이 책 외에도 정사(正使) 오윤겸(吳允謙)의 ≪동사상일록 東槎上日錄≫이 있으나 이보다 소략하다.

참고문헌

『동사상일록(東槎上日錄)』(오윤겸)
관련 미디어 (2)
• 항목 링케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링케 슬롯,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링케 슬롯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