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그 슬롯 제 부경대학교 ()

목차
관련 정보
부산수산대학
부산수산대학
학교교육
단체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국립종합대학.
이칭
이칭
부경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국립종합대학.
연원 및 변천

국립부경대학교는 1996년 7월에 배그 슬롯 제수산대학교와 배그 슬롯 제공업대학교가 통합되어 출범했다. 대연캠퍼스는 배그 슬롯 제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용당캠퍼스는 남구 용당동에 소재한다. 국립부경대학교는 학문의 자유를 바탕으로 창의적인 연구, 교육을 통해 지역, 국가, 인류의 밝은 미래 사회를 창조해 나갈 열린 사고와 책임 있는 실천력을 겸비한 인재 양성을 교육목적으로 하고 있다. 교훈은 '미래를 우리 손으로'이다.

배그 슬롯 제수산대학교는 일제 강점기인 1941년 3월에 4년제 전문학교인 관립 배그 슬롯 제고등수산학교로 설립되었다가 1944년 4월에 배그 슬롯 제수산전문학교로 개편했다. 1946년 9월에 국립배그 슬롯 제수산대학으로 승격되었다. 이후 1990년 3월에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어 배그 슬롯 제수산대학교가 되었다.

배그 슬롯 제공업대학교는 1924년 5월에 배그 슬롯 제공립공업보습학교로 설립되었으며, 1963년 3월에 배그 슬롯 제공업고등전문학교로 승격되었다. 1973년 9월 29일에 국립배그 슬롯 제공업전문학교로 개편되었다가 1983년 12월에 배그 슬롯 제개방대학으로 승격되었다. 1988년 5월에 배그 슬롯 제공업대학으로 개칭했으며 1993년 2월에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어 교명도 배그 슬롯 제공업대학교로 변경했다.

이 두 학교는 1996년 7월을 기점으로 통합되어 부경대학교로 개편·출범했다. 개편 이후 1999년 12월 평생교육원, 2006년 3월 국제대학원을 신설했다. 2009년 3월에 학생들의 생활 편의를 위해 학생생활관(세종관)을 개관했으며, 이후 교세를 확장하여 2013년 3월에는 글로벌수산대학원과 글로벌자율전공학부를 신설하고, 8월에는 과학기술융합전문대학원을 신설했다.

2015년 4월 창업지원단을 설립했다. 2021년 2월 인문사회과학연구원 융합미디어빅데이터연구소를 신설했다. 2023년 1월 신산학융합본부 하부조직에 신기술혁신원, 공유협업센터, 통합지원실을 신설했다. 2023년 11월 16일 〈국립학교 설치령〉 개정에 따라 교명이 국립부경대학교로 개명되었다.

현황

국립부경대학교는 교육과 연구 중심의 대연캠퍼스와 산학연 혁신 용당캠퍼스를 비롯해 기장의 수산해양과학연구단지, 고성의 수산과학기술센터를 운용하고 있다. 2025년 기준 대학은 △인문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경영대학 △공과대학 △수산과학대학환경·해양대학 △정보융합대학 △미래융합대학 △학부대학 △글로벌자율전공학부 등으로 나뉘어져 있다. 각 대학에는 전공에 따라 학부와 전공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대학원 과정으로는 일반대학원을 비롯하여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산업대학원 △교육대학원 △경영대학원 △글로벌정책대학원 △글로벌수산대학원이 설치되어 전문 과정을 갖추고 있다. 연구시설로는 인문사회과학연구원, 기초과학연구원, 경영연구원, 공학연구원, 수산과학연구원, 환경·해양과학기술연구원, 정보융합연구원이 있다.

부속시설로는 학생상담센터와 공동실험실습관, 박물관, 교육연수원, 보건진료소, 부경언론사, 장애학생지원센터, 사회봉사리더십센터, 안전관리센터, 직장어린이집, 인권센터, 중등진로지원센터, 평생교육원, 체육진흥원, 교육혁신성과원, 경영교육혁신센터, 공학종합실습센터, 공학교육혁신센터, 수/해양종합실습센터 등이 있다.

해양실습을 위한 첨단 실습선 백경호(3,997톤)와 첨단 해양탐사선 나라호(1,494톤)를 운영하고 있다.

참고문헌

부경대학교(www.pknu.ac.kr)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