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려(金鑢)가 1810년(순조 10) 이후에 편찬한 『담정총서(藫庭叢書)』 권14에 수록되었다.
「추기남정시말(追記南程始末)」과 「소서(小敍)」에 의하면, 이 책은 저자가 문체(文體) 때문에 정조에게 견책을 받고 1799년(정조 23) 영남의 삼가(三嘉, 일명 鳳城) 지방으로 충군되어 갔다가 118일 만에 돌아올 때, 그간 보고들은 파치 슬롯 어플을 이듬해 5월 하순 화석정사(花石精舍)에서 쓴 것이다.
그러나 책의 제목은 김려가 저자의 글을 필사, 편집하는 과정에서 붙인 것이다. 사(詞)를 시여(詩餘)라 하듯이 비록 문(文)의 정체(正體)는 아닐지라도 문의 여(餘)는 되기 때문에 그렇게 명명하였다고 발문에서 밝혔다.
이 책은 총 64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역사·유적·토속·민속놀이·무속·야담·필기·방언·은어 등에 관한 파치 슬롯 어플이 실려 있다. 이에는 전통문화에 대한 저자의 자존의식과 도덕관 등이 두루 드러나 있다.
한편 토속·민속놀이·무속에 관한 기록들은 당시 이 지방의 민속학연구에 새로운 자료가 될 수 있다. 또한 이 지방의 방언과 도적들의 은어는 얼마 되지 않는 파치 슬롯 어플이지만 희귀한 자료이다.
야담·필기류에서 관찰할 파치 슬롯 어플는 그의 도덕관은 특이하다. 지배층의 부도덕한 행위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비판적인 반면, 하층민에 대해서는 관심과 흥미를 나타내고 있다. 이같은 세태 묘사 작품의 생생한 문체는 패사소품(稗史小品)으로서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
이밖에도 이 책은 당시의 시대상을 다각도로 살필 파치 슬롯 어플는 자료집으로서 활용 가치가 높다. 통문관(通文館)이겸로(李謙魯)가 소장하고 있는 국내 유일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