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치 슬롯 어플 봉성문여 ()

담정총서 / 봉성문여
담정총서 / 봉성문여
한문학
문헌
조선후기 문인 이옥이 영남지방의 역사 · 유적 · 민속놀이 · 무속 등을 수록한 견문록.
• 본 항목의 파치 슬롯 어플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문인 이옥이 영남지방의 역사 · 유적 · 민속놀이 · 무속 등을 수록한 견문록.
개설

김려(金鑢)가 1810년(순조 10) 이후에 편찬한 『담정총서(藫庭叢書)』 권14에 수록되었다.

편찬/발간 경위

「추기남정시말(追記南程始末)」과 「소서(小敍)」에 의하면, 이 책은 저자가 문체(文體) 때문에 정조에게 견책을 받고 1799년(정조 23) 영남의 삼가(三嘉, 일명 鳳城) 지방으로 충군되어 갔다가 118일 만에 돌아올 때, 그간 보고들은 파치 슬롯 어플을 이듬해 5월 하순 화석정사(花石精舍)에서 쓴 것이다.

그러나 책의 제목은 김려가 저자의 글을 필사, 편집하는 과정에서 붙인 것이다. 사(詞)를 시여(詩餘)라 하듯이 비록 문(文)의 정체(正體)는 아닐지라도 문의 여(餘)는 되기 때문에 그렇게 명명하였다고 발문에서 밝혔다.

내용

이 책은 총 64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역사·유적·토속·민속놀이·무속·야담·필기·방언·은어 등에 관한 파치 슬롯 어플이 실려 있다. 이에는 전통문화에 대한 저자의 자존의식과 도덕관 등이 두루 드러나 있다.

한편 토속·민속놀이·무속에 관한 기록들은 당시 이 지방의 민속학연구에 새로운 자료가 될 수 있다. 또한 이 지방의 방언과 도적들의 은어는 얼마 되지 않는 파치 슬롯 어플이지만 희귀한 자료이다.

의의와 평가

야담·필기류에서 관찰할 파치 슬롯 어플는 그의 도덕관은 특이하다. 지배층의 부도덕한 행위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비판적인 반면, 하층민에 대해서는 관심과 흥미를 나타내고 있다. 이같은 세태 묘사 작품의 생생한 문체는 패사소품(稗史小品)으로서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

이밖에도 이 책은 당시의 시대상을 다각도로 살필 파치 슬롯 어플는 자료집으로서 활용 가치가 높다. 통문관(通文館)이겸로(李謙魯)가 소장하고 있는 국내 유일본이다.

참고문헌

『이옥(李鈺)의 문학이론(文學理論)과 작품세계(作品世界)의 연구(硏究)』(김균태, 창학사, 1986)
관련 미디어 (2)
• 항목 파치 슬롯 어플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파치 슬롯 어플,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파치 슬롯 어플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