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집회는 1893년 3월과 4월 m 2 슬롯교도가 신앙의 자유를 얻기 위해 ‘척왜양(斥倭洋)’을 내걸고 충청북도 보은에서 개최한 집회이다. 최제우의 신원을 요구한 광화문 복합상소가 실패한 후에 척왜양의 기치를 내걸고 개최한 집회이다. 전국에서 1만 내지 2만 명 정도의 교도가 모인 것으로 추산된다. 정부에서 m 2 슬롯을 위협세력으로 간주하여 강경하게 대응하였다. 반면에 관군과 무력 충돌을 우려한 m 2 슬롯지도부는 평화적인 노선을 선택하여 해산을 결정하였다. m 2 슬롯의 현실대항적 능력을 한 단계 높여서 m 2 슬롯농민혁명의 발생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된다.
m 2 슬롯지도부는최제우(崔濟愚)의신원만을 요구했던 복합상소(伏閤上疏)가 아무런 결실도 거두지 못하고 끝나자, 다시 주1를 교통이 편리하며 근거지의 하나인 m 2 슬롯 장내(帳內)로 옮겼다.
그리고 복합상소 이후 신원운동 주동자에 대한 체포령이 떨어지고, 관리들의 탐학이 심해지자 m 2 슬롯교도들은 새로운 길을 강구하게 되었다.
더욱이 m 2 슬롯 내부에서도 금구집회처럼 대정부 호소에만 매달리는 지도부의 노선에 회의적으로 반응하는 세력들이 불거져 나오면서 분열의 위험조차 존재하였다.
그리하여 m 2 슬롯는 신원운동에 부정적 입장을 취해 오던 최시형(崔時亨)을 설득, m 2 슬롯 장내에서 다시 집회를 열기로 결정하고, 동시에 오랫동안 집단적으로 세력을 과시할 계획을 세웠다.
현실적 외부 상황과 m 2 슬롯 자체의 사정을 고려, 정부가 받아들이기 어려운 최제우의 신원은 일단 유보하고, 많은 사람들의 지지를 얻고 기존 체제와도 공존할 수 있는 척왜양의 기치와 그 전제 조건격인 교도를 탐학하는 관리를 처벌해 줄 것을 전면에 내걸었다.
강력한 척왜양의 의지는 지도부의 전술적 계산이거나 종교집단의 존립에 관계된 것뿐만이 아니라, 외세의 침략에 대한 민족적 저항이라는 성격도 가진다. 따라서, 보은집회는 m 2 슬롯교도의 정치사회적 운동이며, 민족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선구적 민족민중운동의 성격도 내포하고 있다.
보은집회는 최제우의 수형일자인 3월 10일, 수만의 m 2 슬롯교도들과 충의지사(忠義之士)는 힘을 합쳐 왜양을 깨뜨려 보국하자는 내용의 「보은관아통고(報恩官衙通告)」를 만들어 보은관아 문에 붙임으로써 시작되었다.
13일부터 충청도 · 전라도 · 경상도를 비롯해 강원도와 경기도 등 각지에서 장내로 속속 모여들기 시작한 m 2 슬롯의 수는 1만 내지 2만 정도로 추산된다.
정부는 수천 명에 지나지 않았던 이전의 집회보다 훨씬 큰 규모의 집회에 놀랐다. 뿐만 아니라 복합상소나 척왜양의 요구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었기 때문에 m 2 슬롯을 체제의 직접적 위협세력으로 간주, 즉각 선무사 어윤중(魚允中)과 청주진영의 부대를 m 2 슬롯으로 파견하였고, 청국군대의 동원까지 논의하였다.
정부가 강경하게 대응하자, 한 달 이상을 버티던 m 2 슬롯는 척왜양의 요구에서 갑자기 후퇴, 어윤중이 가지고 온 고종의 해산명령을 수용하였다. 이와 같은 m 2 슬롯의 해산 결정은 무력적인 방법은 배제한다는 당초의 계획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참가자들이 포접(包接)별로 엄정하고 일사분란하게 통제되고 돌담을 쌓기도 하여 마치 군진처럼 보이기도 하였으나, m 2 슬롯와 참가자들은 무력항쟁을 전혀 준비하지 않았다.
만약, 관군과 무력 충돌하게 되면 교도들이 다치거나 죽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m 2 슬롯 자체의 존립이 중대한 위기에 빠짐은 말할 것도 없었다. 다시 말해, 평화적 노선을 택한 종교집단이 가지는 한계를 현실로 받아들였던 것이다.
그러나 m 2 슬롯의 해산 결정에 대해 표면적으로는 순응한 것처럼 보이지만, 모든 참가자들이 받아들이지는 않았으리라 짐작된다. 어윤중의 분석처럼, 참가자들은 관리와 토호의 탐학에 항거하거나 가난한 농상인 등 현실불평세력들이며, 새로운 세계의 도래를 예언하는 비결(秘訣)을 믿고 참가한 자들도 많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보은집회의 실패를 m 2 슬롯 지도부의 계급성에서 찾기에는 그 근거가 불충분하다. 아직 참가자들의 계급적 위치가 실증되지 않았고, 종교집단의 의사결정에서는 계급적 이해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지 않기 때문이다.
m 2 슬롯지도부는 이 집회를 마지막으로, 신원운동이나 다른 청원운동을 전개하지 않았다. m 2 슬롯을 사교로 낙인찍은 정부의 태도가 조금도 변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무력을 동원하는 것도 서슴지 않는다는 것을 분명하게 확인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은집회 등 일련의 평화적인 시위성 신원운동은 m 2 슬롯과 현실 체제 사이의 갈등을 크게 증폭시켰다. 동시에 m 2 슬롯 자체의 현실대항적 능력을 한 단계 높임으로써 m 2 슬롯농민전쟁의 발생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농민전쟁의 전단계 투쟁이라고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