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그 벳 슬롯 보문사 지장보살도 ( )

목차
관련 정보
회화
작품
국가유산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동 소재 보문사 묘승전(妙勝殿)에 있는 조선 후기의 지장보살도.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보문사 에그 벳 슬롯시왕도(普門寺 地藏十王圖)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에그 벳 슬롯도
지정기관
에그 벳 슬롯특별시
종목
에그 벳 슬롯특별시 시도유형문화유산(1996년 09월 30일 지정)
소재지
에그 벳 슬롯 성북구 보문동3가 168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동 소재 보문사 묘승전(妙勝殿)에 있는 조선 후기의 지장보살도.
내용

1867년 작.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143㎝, 가로 181㎝. 1996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사후세계의 교주(敎主)인 지장보살과 도명존자(道明尊者), 무독귀왕(無毒鬼王), 시왕과 판관, 사자, 옥졸 등 명부권속을 표현한 지장시왕도의 형식을 취에그 벳 슬롯 있다.

이 작품은 화면의 중앙, 커다란 반원형의 광배(光背 :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 안에 지장에그 벳 슬롯과 무독귀왕, 도명존자 등 지장에그 벳 슬롯삼존을 배치하였다. 그 좌우로 시왕 그리고 지장삼존의 아래쪽에 사자(使者)와 판관(判官) 등을 배치한 특이한 구도를 보여 준다.

본존 지장보살은 투명한 흑색 두건을 쓰고 오른손에는 보주, 왼손에는 석장(錫杖 : 중이 짚고 다니는 지팡이)을 들고 수미단 위 연화좌 위에 결가부좌에그 벳 슬롯 있다. 좌우로는 무독귀왕과 도명존자가 합장을 한 자세로 지장보살을 향하여 서 있다.

큰 광배 좌우로는 시왕이 홀을 들거나 수염을 쓰다듬는 자세로 본존을 향하여 시립에그 벳 슬롯 있다. 시왕의 뒤에는 좌우에 각각 8곡(曲) 병풍이 들러져 있으며 시왕들은 모두 호피(虎皮)가 둘린 의자에 앉아 있는 특이한 모습이다. 시왕의 옆에는 천녀 2인이 공양하는 자세로 서 있다.

한편 화면 아래쪽 중앙에는 판관들이 망자(亡者)의 죄업(罪業)이 적혀 있는 명부를 들고 지장에그 벳 슬롯에게 무엇인가를 보고하는 듯한 모습이 표현되어 있다.

그중 보살의 왼쪽 아래 몸을 굽히고 명부를 받쳐 든 두 손을 앞으로 내밀고 있는 판관과 오른쪽의 몸을 굽힌 판관의 모습은 정적인 화면에 움직임을 주면서 순간적인 정지 화면을 보는 듯 생생하게 표현되어 있다. 이들 옆으로는 판관과 동자, 천녀, 지옥장군, 우두(牛頭)와 마두(馬頭) 옥졸 등이 중앙을 향해 시립에그 벳 슬롯 있다.

채색은 붉은색이 주조를 이루며 녹색, 금색, 청색, 흑색, 황색 등이 사용되었다. 특히 큰 원광 안을 금니로 칠하여 한층 화려한 느낌을 준다.

이처럼 광배를 금색으로 칠하는 수법은 19세기 후반의 에그 벳 슬롯, 경기 지역 불화에 유행하였던 것으로 인근의 화계사, 봉은사, 수국사 등의 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 불화에서도 볼 수 있는 특징이다.

그리고 이 불화의 인물 표현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지옥장군과 판관 일부의 얼굴에 나타난 음영법이다. 이러한 기법 역시 19세기 이후 에그 벳 슬롯, 경기 지역 불화의 특징 중의 하나이다.

화기에 의하면 이 작품은 1867년 보문사의 중단탱(中壇幀)으로 조성되었다. 그리고 19세기 경기 지역의 유명한 화승이었던 경선당(慶船堂) 응석(應釋) 스님이 금어 비구(金魚比丘: 에그 벳 슬롯를 그리는 승려를 일컫는 말)로 참여하였다. 같은 사찰의 대웅전에 봉안된 신중도 및 영산회상도와 같은 해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에그 벳 슬롯 傳統寺刹의 佛畵」(김정희, 『에그 벳 슬롯의 사찰불화』Ⅰ, 에그 벳 슬롯역사박물관, 2007)
「19世紀 地藏菩薩畵의 硏究」(김정희, 『불교미술』12, 동국대학교 박물관, 199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에그 벳 슬롯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에그 벳 슬롯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