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게임 어플 벽성 ()

목차
관련 정보
김제 벽성서원 정측면
김제 벽성서원 정측면
인문지리
지명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김제 지역의 옛 지명.
이칭
이칭
벽골군(壁骨郡), 벽골군(壁骨郡), 김제군(金堤郡)
• 본 슬롯 머신 게임 어플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김제 지역의 옛 지명.
내용

본래 삼한시대에 마한의 가장 큰 부족국인 벽비리국(辟卑離國)이었는데, 백제 때 벽골군(壁骨郡, 또는 辟骨郡) 또는 벽성군(辟城郡)으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통일신라 때에 김제군(金堤郡)으로 고쳤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만경(萬頃)과 금구(金溝) 두 현을 합쳐 김제군의 영역을 확정하였다.

벽성의 지명 유래는 4세기 중엽 백제 비류왕 때 완성했다는 벽골지(壁骨池)와 관련이 있다. ‘벽(辟)’은 ‘벼〔禾〕’를 뜻하고 ‘성(城)’은 ‘골(骨: 고을)’과 통하므로 ‘벼의 고장’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이곳은 호남평야의 중심부를 차지하기 때문에 일찍부터 벼농사가 발달하였다. 김제를 벽성과 관련시킬 때 가을의 황금들판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으나, 김제가 광복 전까지 남한 제일의 사금(砂金) 채취지역이었던 점으로 보아 ‘금이 나는 곳’이라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동진강(東津江) 유역을 차지하였던 이 지역은 강 하구에 해창(海倉)이 있어 이곳 물산을 모아 경강(京江)으로 보냈다. 조선시대에는 내재역(內才驛)이 있었고, 전주를 위시하여 호남의 여러 지역과 연결되는 도로가 발달하였다.

참고문헌

『대동지지(大東地志)』
『전래지명(傳來地名)의 연구(硏究)』(유재영, 원광대학교출판국, 1982)
『지방행정지명사(地方行政地名史)』(내무부, 1982)
관련 슬롯 머신 게임 어플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슬롯 머신 게임 어플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슬롯 머신 게임 어플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