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전하지 않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720년 일본의 정사(正史)로 편찬된 『일본서기』의 백제관계 기사에 분주(分註)로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되었다. 그런데 『일본서기』에는 이 책 외에도 『백제기(百濟記)』와 『백제본기(百濟本記)』라는 두 책의 이름이 보이고 있어 이를 흔히 ‘백제삼서(百濟三書)’라고 한다.
이들 중 특히 『백제신찬』은 웅략기(雄略紀) 2년조와 5년조, 무열기(武烈紀) 4년조의 분주에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되고 있는데 그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된 실례로 보아 『백제기』는 대개 초기인 한성시대(漢城時代)의 백제관계사의 분주에, 『백제신찬』은 중기인 웅진시대(熊津時代)의 백제관계사 분주에, 『백제본기』는 말기인 부여시대(扶餘時代), 특히 성왕시대의 백제관계사 분주에 집중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되어 있다.
그러나 그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된 내용은 다분히 개편조작을 거쳐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짙다. 이 책이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된 구체적인 실례를 검토해보면, 대개 『일본서기』 본문의 기사를 이 책에서 취하고 분주를 그것을 인증하여주는 방식 또는 다른 사료에서 취한 본문기사를 이 책의 사료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책이 가질 수 있는 역사적 가치를 고려한다면 사료적 비판이나 문헌학적 고찰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