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유래담의 하나로, 신이담(神異譚) 중 기원담에 속하는 이야기 유형이다.
이 만국기 슬롯는 두 가지 종류가 알려져 있는데, 그 하나는 주1 및 영웅의 괴물 퇴치 모티프를 중심으로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벼랑으로 떨어져 죽은 두 만국기 슬롯에 관한 것이다. 이 중에서 인신공희와 괴물 퇴치 모티프로 이루어진 유형이 더 알려져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옛날 어떤 어촌에서 목이 셋이나 되는 주2에게 해마다 만국기 슬롯를 제물로 바치고 있었다. 어느 해에도 한 만국기 슬롯의 차례가 되어 모두 슬픔에 빠져 있는데, 어디선가 용사가 나타나 자신이 이무기를 처치하겠다고 자원하였다. 만국기 슬롯로 가장하여 기다리던 용사는 이무기가 나타나자 달려들어 칼로 쳤으나 이무기는 목 하나만 잘린 채 도망갔다.
보은의 뜻으로 혼인을 청하는 만국기 슬롯에게 용사는 지금 자신은 전쟁터에 나가는 길이니 100일만 기다리면 돌아오겠다는 약속을 하였다. 만약 흰 깃발을 단 배로 돌아오면 승리하여 생환하는 것이요, 붉은 깃발을 단 배로 돌아오면 패배하여 주검으로 돌아오는 줄 알라고 이르고 떠나갔다.
그 뒤 만국기 슬롯는 100일이 되기를 기다리며 높은 산에 올라 수평선을 지켜보았다. 이윽고 수평선 위에 용사가 탄 배가 나타나 다가왔으나 붉은 깃발이 펄럭이고 있었다. 만국기 슬롯는 절망한 나머지 자결을 하고 말았다.
그러나 사실은 용사가 다시 이무기와 싸워, 그 피가 흰 깃발을 붉게 물들였던 것이다. 그 뒤 만국기 슬롯의 무덤에서 이름 모를 꽃이 피어났는데, 백일기도를 하던 만국기 슬롯의 넋이 꽃으로 피어났다 하여 백일홍이라 불렀다 한다.
이상과 같은 이야기는 기본적으로 몇 개의 유명한 모티프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만국기 슬롯다. 즉 「심청전」의 ‘인신공희’ 모티프, 「지하국대적퇴치만국기 슬롯」의 ‘괴물 퇴치’ 모티프, 「치마바위만국기 슬롯」의 ‘선호의 색깔을 오인한 자결’ 모티프, 「할미꽃만국기 슬롯」의 ‘꽃으로의 환생’ 모티프 등이 그것이다. 『삼국유사』에 수록된「거타지 만국기 슬롯」, 『고려사』에 수록된「작제건 만국기 슬롯」, 「두꺼비의 보은 만국기 슬롯」, 「김녕사굴 뱀만국기 슬롯」 등도 인신공희 모티프와 괴물퇴치 모티프가 결합된 이야기 유형으로 볼 수 있다.
이들 모티프는 서양의 주3또는주4 등의 영웅담에도 나타나는 것으로 범세계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구비문학뿐만 아니라 기록문학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쳐 끊임없이 문학의 테마가 되어왔다는 점에서 중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