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권. 필사본. 매 면 10행씩인데, 매 단락 첫 행은 계속되는 행들보다 한 자를 내어 써 20자로 되어 있다. 책 이름은 저자 조석주(趙錫周, 1641~1716)의 호인 백야(白野)에서 취한 것으로 야사총서인 『패림(稗林)』 제8집에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의 슬롯 리뷰은 대체로 16, 17세기 무렵의 이름난 선비나 유학자들의 언행이 주를 이루고, 그중에는 저자 자신의 스승과 벗들의 일화나 세태 비평도 포함되어 있다.
저자의 스승은송시열(宋時烈)과 같은기호학파(畿湖學派)로서 예론(禮論)에 밝은 것으로 이름났던 권시(權諰)인데, 이 책에 수록되어 있는 그의 일화 가운데 하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는 농담을 좋아하였다고 한다. 한 번은 그가 말하기를 “지금의 은사(隱士)는 모두 ‘뻐꾹 은사(法局隱士)’다.”라고 하여, 어떤 사람이 그 까닭을 물으니 그는 대답하였다. “내 일찍이 어린아이들이 숨바꼭질하는 것을 보니, 술래가 된 아이가 오래도록 숨은 아이를 찾아내지 못하면, 숨었던 아이가 스스로 ‘뻐꾹 뻐꾹’ 하고 외쳐 술래로 하여금 속히 달려오게 한다.
지금의 은사는 겨우 은일(隱逸)의 미명을 얻은 뒤, 세상이 저를 알아주지 않을까 두려워하여 그 스스로 알려지는 방도를 찾으니, 이는 자신의 몸을 숨기지 않고 스스로 ‘뻐꾹’ 하고 외쳐 대는 자와 같은 것이다.”
『백야기문』에는 이러한 단편들이 총 70개가 모아져 있는데, 이들은 인물 연구뿐만 아니라 당대의 정치 · 사회 · 사상 슬롯 리뷰 살피는 데에도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 책은 원래 『광사(廣史)』 제6집에도 들어 있었으나, 불행히도 이 본은 1923년 관동대지진 때 타 버렸다.
거기에김려(金鑢)가 정사(淨寫)한 발문(跋文)이 있는데 거기에, “그 전편의 주된 뜻이 다만 주1라는 다섯 글자가 있어 전체 의미를 잘 읽어 보니, 중봉(重峯)을 배척하였고,우계(牛溪)와율곡(栗谷)을 능멸하였으며, 우옹(尤翁)을 비방하였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