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복 이 슬롯 백암산 ()

목차
자연지리
지명
평안북도 위원군 숭정면과 강계군 화경면에 걸쳐 있는 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다복 이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평안북도 위원군 숭정면과 강계군 화경면에 걸쳐 있는 산.
내용

높이 1,823m. 북쪽의 천불봉(天佛峰, 1,636m), 서쪽의 숭적산(崇積山, 1,994m)과 더불어 하나의 산괴(山塊)를 형성다복 이 슬롯, 고암산(姑巖山, 1,763)·대암산(大巖山, 1,566m) 등과 연결되어 적유령 산맥의 주봉을 이룬다.

산세가 매우 험준하며, 산지의 중턱부터 산정까지는 관목대(灌木帶)를 이루고 그 밑으로는 침엽수와 활엽수의 혼합림이 전개되고 있으나 식물상(植物相)은 빈약하다. 남쪽 사면의 V자곡을 흐르는 계류가 청천강으로 흘러든다.

심산유곡이므로 촌락 경관은 산촌(散村)을 이루고 있으며, 남쪽 사면을 동남쪽으로 깊이 하각다복 이 슬롯 있는 숭적산 남쪽 기슭에는 화경면의 화동참 마을이 있을 뿐이고, 이 곳에 유서깊은 암자인 흥룡암(興龍庵)이 있다.

참고문헌

『다복 이 슬롯지명연구』(홍시환, 육군사관학교, 1968)
『신다복 이 슬롯지리』(강석오, 새글사, 1974)
『다복 이 슬롯지리』(권혁재, 법문사, 1987)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다복 이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다복 이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다복 이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