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 엔트 슬롯 배수의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중기에, 참봉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활동에 가담하였지만 화의 소식을 듣고 귀가하였고, 정유재란 때 전사한 관리 · 의병.
이칭
자견(子堅)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597년(선조 30)
본관
남해(南海)
주요 관직
참봉
관련 사건
임진왜란|금산전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넷 엔트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에, 참봉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활동에 가담하였지만 화의 소식을 듣고 귀가하였고, 정유재란 때 전사한 관리 · 의병.
개설

본관은 남해(南海). 자는 자견(子堅). 고려 개국공신 배현경(裵玄慶)의 후손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음보(蔭補)로 참봉을 지내다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동생 배종의(裵從義)와 함께 흥덕(興德)에서 채홍국(蔡弘國) 등이 일으킨 넷 엔트 슬롯에 가담하여 금산전투에 참여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이미 고경명(高敬命)의 넷 엔트 슬롯군이 전몰한 뒤라 돌아왔다가 다시 흥덕의 남당(南塘)에서 혈맹을 맺고 채홍국 넷 엔트 슬롯군의 습사도감(習射都監)의 직책을 맡아 순천에 진군하였다. 이때도 역시 화의가 맺어졌다는 소식을 듣고 별다른 전과없이 돌아왔다. 1597년 정유재란 때 흥덕의 장등(長嶝)싸움에 출전하여 전사하였다. 뒤에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추증되고, 흥덕의 창의사(倡義祠)에 제향되었다.

참고문헌

『호남삼강록(湖南三綱錄)』
『호남절의록(湖南節義錄)』
『야수실기(野叟實記)』
「정유재란기 호남지역 넷 엔트 슬롯의 향토방위전 사례 검토」(김동수, 『역사학연구』 30, 호남사학회, 2007)
「정유재란기 전라도 지방의 넷 엔트 슬롯활동에 대하여 : 전라도 북부 지방의 넷 엔트 슬롯활동을 중심으로」(하태규, 『한일관계사연구』 10, 한일관계사학회, 1999)
「흥덕남당창의와 채씨일문의 넷 엔트 슬롯운동」(조원래, 『한국사연구』42, 1983)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넷 엔트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넷 엔트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넷 엔트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넷 엔트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