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방언학 ()

목차
관련 정보
문자
개념
방언을 대상으로 하여 방언체계와 방언현상을 연구하는 학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방언을 대상으로 하여 방언체계와 방언현상을 연구하는 학문.
내용

dialectology로 표기한다. 개개의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또는 그 하위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을 하나의 독립된 언어체계로 보고 기술적인 연구 또는 세대차 등을 고려한 역사적인 연구를 행하기도 하고, 둘 이상의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들을 대조 · 비교하여 공시론적으로 또는 통시론적으로 연구하기도 하며, 광역에 걸친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을 지역별로 조사하여 지리적 분포에 따라 경계를 찾아 구획하는 연구도 하고 나아가서 이들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들을 비교하면서 역사를 재구하기도 한다.

그리고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경계를 이루는 좁은 지역에서 일어난 접촉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성격을 연구하기도 한다. 또한 지방에서 간행된 문헌들에 반영된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을 연구하기도 하며 문헌 중심의 역사적 연구를 보완하기 위하여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을 연구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학의 연구대상인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자료에는 현대의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자료는 물론이고 이전에 기록되어 전해 오는 문헌상의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자료도 포함되는데, 말하자면 개별언어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전체가 포함되나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연구의 성격이나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쓰인다.

현대의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자료는 시간적 변화가 지리적으로 투영된 언어형식과 내용이기는 하나 기본적으로는 조사시점에서의 공시태를 보인다. 이러한 현대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은 주로 현지조사에 의하여 수집되지만 때로 통신조사 또는 서면조사에 의하여 수집되기도 한다.

광역에 걸친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조사의 경우에는 체계적이고도 균질적인 조사를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하여 조사목적에 알맞게 작성한 조사항목표나 질문지(questionnaire)를 이용한다.

특히 여러 지점을 대상으로 공동적인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조사연구를 목표로 하는 경우에는 조사항목과 그에 대한 질문문을 포함하는 질문지가 쓰인다.

≪시골말캐기잡책≫(최현배, 1946)은 조사항목표의 성격을 띤 것이요, ≪한국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조사질문지 韓國方言調査質問紙≫(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는 우리 나라 최초의 광역조사용 질문지이다. 그 밖의 조사표나 질문지는 개인용이나 단체용(특히 국어국문학과 답사용)으로 작성되어 쓰여 왔다.

조사표나 질문지에 따라 조사된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형들은 자료집의 형식으로 보고되기도 하고 다시 이를 바탕으로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지도로 작성되기도 한다.

≪한국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조사질문지≫에 따라 조사된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형들을 질문지의 순서로 편집한 것이 ≪한국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자료집 韓國方言資料集≫Ⅰ∼Ⅸ(1987∼1995)이다. 이에 의한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지도는 현재 준비중에 있으며 아직 간행되지 않고 있다.

본격적인 국어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연구는 20세기 전반기에 오구라(小倉進平)와 고노(河野六朗)에 의해서 시작되었고 방종현(方鍾鉉)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시작되었는데, 이들은 전국을 대상으로 한 것이었다. 그리고 부분적인 전국 언어지도 내지는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지도를 작성하여 일부 현상을 설명하려 하였다.

그러나 광복 이후에는 일제강점기의 경향을 이으면 차츰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권 또는 그 하위보더 랜드 3 슬롯 머신권 더 작게는 어느 한 지점의 지역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즉 지역어(地域語)를 대상으로 기술적인 연구가 주축을 이루게 되었는데, 이렇게 진행됨에 따라 언어지도의 작성에 의한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사적 해석은 크게 진전되지 못하였다.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권 내지 행정구획으로서의 도(道) 단위를 중심으로 작성된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지도들도 주로 지리적 분포와 경계에 따라 하위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구획에 초점이 맞추어 왔다.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연구에 있어서 언어지도는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언어지도란 어떤 언어현상이 각 지점에서 어떤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형으로 나타나는가를 일단 보여 주되 그 지도 작성 자체가 그 언어현상에 대한 해석이 포함되도록 색채나 부호를 부여하여야 한다. 이러한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연구를 특별히 지리언어학(地理言語學, geolinguistics) 또는 지리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학(地理方言學)이라 한다.

언어지도를 통한 지리언어학적 연구에서는 ㅇ ㅿ ㅁ 등과 같은 부호를 계통을 갖추어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같은 계통에 속하고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차가 적은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형에 대하여는 이들 기본 부호에 부가기호를 첨가하여 사용함으로써 각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형의 지리적 분포의 영역 내지 경계를 보여 줌은 물론 부호 자체에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차를 부여 해석한다.

때로 동어선 또는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경계선을 표시하는 등 여러 작도법이 시도되고 있다. 말하자면 언어지도는 어떤 언어특징의 역사적인 여러 모습을 지리적인 분포도로 바꾸어 놓은 형식의 해석지도라 할 수 있다.

예컨대 ‘해바라기(向日花)’를 나타내는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형으로는 ① ‘해바라기(<해(日) # 바라(向) + 기)’ ② ‘해자부리(<해(日)자불(睡)+이)’ ③ ‘해가우리(<해(日)갸울(傾)+이)’의 세 계통이 있는데, 이들은 각각 대체로 ① 경기도 · 충청남북도 · 전라남북도 · 경상남북도 및 제주도에서 주로 쓰이고 ② 강원도 및 함경남북도 ③ 황해도 및 평안남북도에 분포된다. 먼저 이들에 각각 기본부호 ㅇ ㅿ ㅁ를 부여하고 다시 ‘해자부리’는 다시 함경남도의 대부분 지역과 강원도 대부분 지역에서 ‘해자우리’ 계통으로 나뉘는데, 이때에 ‘해자부리’의 기호에 부가기호를 예컨대 曰과 같이 보태어 ‘○>w’의 변화(ᄌᆞᄫᆞᆯ · >자울 · )를 보여 주도록 지도를 작성하게 된다. 각각의 부호는 해당 지점에 동일하게 표시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나아가 관련 어휘들로 확대시켜 작성하고서 그 지도들을 겹쳐서 언어변화를 다시금 표시할 수도 있다.

우리 나라에서의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에 대한 관심은 기록에 따르면 ≪훈민정음≫에서부터 확인된다. 해례 합자해의 “ · ㅡ起ㅣ聲 於國語無用 兒童之言 邊野之語 或有之”에서 중앙어에 없는 ‘○’와 ‘○’가 아이들의 말이나 변방의 말에 있음을 언급하고 있다.

실학시대에는 문자 및 표기와 관련된 음운사적인 관심에 따라 구개음화 등을 중심으로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분화에도 관심을 보였고, 여러 실학자들에 의하여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어휘들도 보고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그대로 개화기에 이어졌다. ≪대한자강회월보 大韓自强會月報≫의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어휘들의 보고 및 주시경(周時經)의 음학(音學)에서의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적 관심 등이 그것이다.

현지조사를 필요로 하는 본격적인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조사, 연구는 일제강점기 때에 한국인보다 훨씬 유리한 자리에 있었던 일본인학자들, 특히 오구라(小倉進平)와 그의 제자 고노(河野六郎)에 의하여 독점되다시피 하였다. 이들의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학적 관심은 당시의 언어학의 흐름에 맞춘 역사주의적인 것이었다.

한국어의 특질과 그 계통을 밝히기 위하여 한국어의 역사적 변천의 발자취를 밝히고 다른 여러 언어와의 비교연구를 실험하되, 문헌자료의 연구만으로는 불충분하여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연구의 도움을 받으려 하였다.

이러한 역사적 연구는 조선총독부의 식민정책을 위한 ‘조선반도사(朝鮮半島史)’의 부속사업의 하나인 ‘일한동원사(日韓同源史)’를 밝힘에 관련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일제시대의 방종현(方鍾鉉) 등의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연구는 역사적인 것이었으나 이는 향토문화사연구와도 관련된 것이었다.

일제시대의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연구는 주로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음운사적인 주제들, 예컨대 ‘ · , 이중모음, △, 어중의 ㅂ 및 ㄱ’ 등에 관련되었는데, 이를 통해서 많은 음운사적인 현상들이 밝혀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의 언어사 기술방법은 체계적인 것이 아니고 개체사적인 성격을 띠었다. 형태사적인 또는 문법적인 현상에 대해서도 대체로 마찬가지였다.

의문형 어미를 공손법과 관련시키면서도 동남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경우 ‘ · 가/ · 고’ 같은 판정의문과 설명의문과의 차이점을 체계적으로 밝히지 못하였던 것이다.

광복 이후 한동안은 오구라의 ≪조선어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연구 朝鮮語方言の硏究≫와 고노의 ≪조선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학시고 朝鮮方言學試攷≫ 등의 영향 속에서 조사, 연구되었는바, 자료집으로 석주명(石宙明)의 ≪제주도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집 濟州島方言集≫(1947), 현평효(玄平孝)의 ≪제주도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연구Ⅰ 濟州島方言硏究Ⅰ≫(1962), 최학근(崔鶴根)의 ≪전라남도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연구 全羅南道方言硏究≫(1962), 김형규(金亨奎)의 ≪한국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연구 韓國方言硏究≫(1974), 김영태(金永泰)의 ≪경상남도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연구Ⅰ 慶尙南道方言硏究Ⅰ≫(1975), 최학근의 ≪한국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사전 韓國方言辭典≫(1978), 이돈주(李敦柱)의 ≪전남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全南方言≫(1978) 등이 계속 출판되었다.

김이협(金履浹)의 ≪평북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사전 平北方言辭典≫(1981)은 전통적인 유서(類書)들의 어휘분류와 유사한 성격을 지닌 위의 자료집과는 달리 국어사전을 참고로 하여 편집된 것이다.

그 뒤로 김태균(金泰均)의 ≪함북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사전 咸北方言辭典≫(1986), 박용후(朴用厚)의 ≪제주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연구 濟州方言硏究≫(자료편, 1960/1988), 제주도에서 간행한 ≪제주어사전 濟州語辭典≫(1995), 김영배(金英培)의 ≪평안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연구 平安方言硏究≫(자료편, 1997) 등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권에 따른 자료집들이 출판되었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어문연구실에서 1978년부터 기획 · 조사된 자료집은 ≪한국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자료집 韓國方言資料集≫이란 이름으로 도(道)별로 1987년부터 1995년까지 9편이 간행되었다.

이러한 가운데에서도 이숭녕(李崇寧)의 <제주도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형태론적 연구>(1957)와 같이 개별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체계적인 연구로의 변화가 시작되었는데, 때때로 국어사적인 관심이 비추어지기도 하였다.

허웅(許雄)의 <경상남도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성조>(1954)는 순전히 기술적인 연구로 성조소와 성조유형의 설정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만, 정연찬(鄭然粲)의 <경상도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성조에 대한 몇 가지 문제점>(1968)으로 이어졌다.

물론 이러한 기술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역사적인 연구도 행하여졌는바, 램지(Ramsey,R.S.)의 <Accent and Morphology in Korean Dialects>(1978)가 그 대표적인 예의 하나가 된다.

1960년대의 기술적인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연구는 김영송(金永松)의 <경남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음운>(1963), 정연찬의 <경남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모음체계>(1968), 현평효의 <제주도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모음체계>(1969), 이돈주의 <전남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에 대한 고찰>(1969), 이병근(李秉根)의 <황간지역어의 음운>(1969) 및 <경기지역어의 모음체계와 비원순모음화>(1970) 등을 이루게 하였는데, 때로 구조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학적인 인식이 보태지게 되었다.

이 1960년대의 후반기가 현대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학의 형성기가 되는 셈인데, 개별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기술적 연구는 이병근의 <운봉지역어의 움라우트현상>(1971), 이승재(李丞宰)의 <남부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원순모음화와 모음체계>(1977) 등 체계와 현상을 유기적으로 해석하려는 경향을 보였으며, 여러 형태음소론적인 현상들, 그리고 문법현상들을 공시론적으로 기술하는 경향도 보였다.

이익섭(李翊燮)의 <강릉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형태음소론적 고찰>(1972), 이병근의 <동해안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이중모음에 대하여>(1973), 최명옥(崔明玉)의 <서남경남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부사화접사 ‘ · 아’의 음운현상>(1976), 김영배(金英培)의 <평안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음운체계연구>(1977), 이승재의 <구례지역어의 음운체계>(1980).

최태영(崔泰榮)의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음운론>(1983) 등이 음운현상들을 다룬 것이고, 이익섭의 <영동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경어법연구>(1974), 현평효의 <제주도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정동사어미연구>(1974), 천시권(千時權)의 <경북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의문첨사에 대하여>(1975).

최명옥의 <현대국어의 의문법>(1976), 강신항(姜信沆)의 <안동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서술법과 의문법>(1978), 홍윤표(洪允杓)의 <전주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격연구>(1978), 박양규(朴良奎)의 <서남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경어법의 한 문제>(1980) 등은 문법현상을 다룬 이 시기의 공시론적 연구들이다.

음운사적 연구도 이 시기에 계속되어 전광현의 <남원지역어의 어말 · u형 어휘에 대한 통시음운론적 고찰>(1976), 이기문(李基文)의 <제주도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 · ’에 관련된 몇 문제>(1977), 이병근의 <파생어형성과 i역행동화규칙들>(1976), 박창원(朴昌遠)의 <고성지역어의 모음사에 대하여>(1983) 등의 업적들이 줄을 이었다.

공시론적인 연구에서는 물론이고 통시론적인 연구에서 여러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을 체계적으로 비교하여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사를 재구함으로써 국어사를 서술한 연구는 아직 시도조차 되지 않았다. 이익섭의 <영동 · 영서의 언어분화>(1981)는 단어지리학의 성격을 지닌 것이다.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어휘론의 연구로는 김완진(金完鎭)의 <제주도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일본어 어사차용에 대하여>(1957), 전광현(田光鉉)의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어휘론적연구>(1973), 이익섭의 <‘아재’고>(1976) 등이 그 예들이다.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조사 훈련을 위한 각 대학 국어국문학과의 답사,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학 석사논문의 다량의 출간 등이 이루어지면서,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연구가 더욱 발흥하였고,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의 발족과 함께 전국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조사가 계획, 착수되었으며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方言≫이라는 전문지까지 나오게 되면서 더욱 많은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연구의 석 · 박사 논문들이 쏟아지기에 이르렀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의 전국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조사연구가 이병근(李秉根) · 이익섭 · 전광현(田光鉉) · 최명옥(崔明玉)의 연구 · 기획 아래서 1978년 11월에 시작되면서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方言≫이란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학 전문학술지가 나오고 ≪한국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조사질문지≫(1980)에 의한 조사원 곽충구(郭忠求) · 박민규(朴敏圭) · 이상규(李相揆) · 이승재(李承宰) · 정인상(鄭仁祥) · 한영균(韓榮均) · 정승철(鄭承喆) 등에 의하여 진행되었으며, 1987년부터 ≪한국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자료집≫이 도(道)별로 간행되고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학연구가 본궤도에 오르게 되면서 부흥기를 맞게 되었다.

이에 자극되어 부흥을 맞은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학은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내지 하위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더욱 좁혀서는 지역어(보더 랜드 3 슬롯 머신구획과는 상관 없이 어느 한 지역에서 쓰이는 언어)를 대상으로 한 기술적인 연구 및 공시론 · 통시론의 종합적 연구로 이어졌다.

이 시기에 한 지역어의 기술적 역사적 연구에서는 새로운 지역어를 확대시켜 나가 지역어의 미세한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특징들이 새로이 밝혀지기도 하였고, 도(道) 단위 또는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권 단위의 연구가 계속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주제별로 한 연구도 양산되었다.

지역어 중심의 연구로는 최태영(崔泰榮)의 <전주(全州)지역어의 음은론적 연구>(981). 최명옥(崔明玉)의 <월성(月城)지역어의 음운론>(1982). 성낙수의 <제주도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풀이씨의 이음법 연구>(1983). 신기상(辛基相)의 <동부경남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음운연구>(1983). 김영태(金榮泰)의 <창원(昌原)지역어 연구>(1983). 강정희(康貞姬)의 <제주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명사류접미사에 관한 연구>(1984). 조항근(趙恒根)의 <청원(淸原)지역어의 구조에 관한 연구>(1985), 박명순(朴明淳)의 <거창(居昌)지역어의 음운연구>(1987), 김광웅(金光雄)의 <제주도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1988), 이기동(李氣銅)의 <함경남도 북청(北靑)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음운론적 연구>(1987) 등등의 박사학위 논문들이 발표되었다.

도 단위 또는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권(그 하위보더 랜드 3 슬롯 머신권) 단위의 연구로 서정목(徐禎穆)의 <경남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의문문에 대한 연구>, 이기갑(李基甲)의 <전남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언어지리학적 연구>(1986), 김성환(金成煥)의 <경북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성조에 관한 연구>(1988), 정철(鄭喆)의 <경북 의성(義城)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음운론적 연구>(1989), 김웅배(金雄培)의 <전남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서법연구>(1989), 이상규(李相揆)의 <서북경북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통시음운 연구>(1989), 소강춘(蘇江春)의 <전북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공시적 언어분화에 대한 연구>(1989), 이동하(李東河)의 <경북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성조의 자립분절음운론적 연구>(1990), 주상대(周相大)의 <울진(蔚珍)지역어의 음운현상 연구>(1990), 강병륜(姜秉倫)의 <충청북도 지명어 연구>(1990), 김충회(金忠會)의 <충청북도의 언어지리학>(1990) 등이 발표되었다.

이어서 곽충구(郭忠求)의 <함경북도 육진(六鎭)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음운론>(1991), 송상근의 <제주도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접미파생어 연구>(1992), 김태엽의 <영일지역어의 종결어미 연구>(1992), 박경래(朴慶來)의 <충주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음운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1993), 정승철(鄭承喆)의 <제주도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통시음운론>(1994), 배주채의 <고흥(高興)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음운론적 연구> 등 계속 박사학위 논문들이 나왔다.

또한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이 반영된 문선을 중심으로 한 최전승(崔銓承)의 <19세기 후기 전라보더 랜드 3 슬롯 머신(全羅方言)의 음운현상과 그 역사성>(1986), 백두현(白斗鉉)의 <영남문헌어의 통시적 음운 연구>(1989), 이재춘(李載春)의 <19세기 충북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음운론적 연구> 등의 학위논문도 나왔다.

8·90년대에 이어진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연구에서는 특수주제에 대한 정밀한 연구가 많이 나왔는데, 서남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을 중심으로 한 정인호(鄭仁浩)의 <ㅂ · 불규칙용언 어간의 변화에 대하여>(1997), 배주채의 <고흥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장형부정문>(1997), 정승철의 <제주도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어미의 형태음소론> 등은 이러한 경향을 잘 반영하고 있다.

정밀한 작업에 있어서는 흔히 그 대상지역이 흔히 하나의 지역일 경우가 많다. 8·90년대 업적 중에서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권 또는 도(道) 단위의 연구에는 언어지도를 삽입하거나 하위보더 랜드 3 슬롯 머신권을 구획하면서 지리언어학적 연구를 시도하기도 하였으나 언어분화에 대한 지리적 요인을 찾아 해석한 경우는 많지 않다. 가장 흔한 경우는 혼효형에 대한 해석이었다.

그 동안 김영배의 ≪평안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연구≫(1997), 최명옥의 <19세기 후기 서북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음운론>(1985) 등 일부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학자에 의한 북한어 연구가 있어 왔는데, 최근에는 조선족의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러시아의 고려말 그리고 북한 출신 실향민의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등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King의 <Russian sourus on Korean Dialect>(1991)은 고려말을 대상으로 한 것이고 연변대 교수인 전학석(全學錫)의 <함경도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음조에 대하여>(1994), 곽충구의 <연변지역의 함북 길주 · 명천지역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에 대한 조사연구>(1997) 등은 중국 연변의 조선어를 대상으로 한 대표적인 것이다.

국립민속박물관에서 관장한 ≪중국 길림성 한인동포의 생활문화≫(1996)와 ≪중국요녕성 한인동포의 생활문화≫(1997) 속의 왕한석의 <언어생활>은 언어인류학적 접근의 보고서이다.

≪한국언어지도집≫(1993)이 이기문 · 김완진(편집주간) 최명옥 · 곽충구 · 이숭재 · 김영배(편집위원)와 S.A.Warm Theo Baumann(편집자문)에 의하여 국제학술원연합의 계획하에서 간행되었는 바, 초보절음소(성조와 음장)에 초점을 두되 그 대상 단어는 <말(言), 여우(狐), 새우(蝦), 듣 · (聞)>과 <동남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 3음절 명사, 사동사와 피동사> · <서남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 부사형 어미 ‘ · 아/어’의 교체> · <동북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 ‘곱 · ’의 활용과 운소, 동북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 ‘춥 · ’의 형태론>으로 모두 9장의 지도로 엮어졌고, 각각 해설이 덧붙어 있다.

이는 <국어초분절음소조사표>와 <(국제학술원협회의 언어지도 간행에 대비한)한국어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기초적 연구>(1990)에 따른 것이었다.

광복 이후의 국어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학의 관심은 음운론에서 차츰 문법론으로 확대되고 있었는데, 최근에는 어휘론 특히 어휘사(語彙史)에 관한 연구가 다시 나오기 시작하였다.

곽충구의 <어휘의 의미분화와 명칭의 분화 · ‘지렁이’와 ‘회충’의 단어지리학>(1995)을 비롯하여 이병근의 <‘질경이(車前草)’의 어휘사>(1995) · <‘고양이(猫)’의 어휘사>(1997) · <‘마름(菱仁)’의 어휘사>(1998) · <‘해바라기(向日花)’의 어휘사>(1997) 등이 그것인데, 자연히 문헌과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을 함께 고려하게 되었다.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을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사회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학은 1990년에 한국사회언어학회가 창립되고 ≪사회언어학≫이 1993년에 창간되면서 활발해지고 있다. 이정복의 <하동 지역에서의 경어법의 사용 양상>(1993) 등이 있다.

참고문헌

『국어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학서설』(최학근, 정연사, 1959)
『영동.영서의 언어분화』(이익섭, 서울대학교출판부, 1981)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학』(이익섭, 민음사, 1984)
「한국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사」(이숭녕,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67)
「국어사연구가 걸어온 길」(이기문, 『나라사랑』 26, 1977)
「국어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연구의 흐름과 반성」(이병근,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1, 1979)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이병근, 『국어국문학연구사』, 우석, 1985)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학의 연구」(이병근·이승재, 『국어학연구사』, 1985)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서울대학교대학원 국어연구회편, 동아출판사, 1990)
『국어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연구의 현황과 전망』(한국정신문화연구원학술세미나, 1995)
『朝鮮方言の硏究』(小倉進平, 東京, 1944)
「朝鮮語方言硏究の近況」(梅田博之, 『方言硏究叢書』 2, 1973)
Dialectology(Chambers,J.K. and Trudgill,P., CambridgeUniversity Press, 1980)
Dialect, Language, Nation(Haugen,E., American Anthropology 68, 1966)
집필자
이병근(서울대학교, 국어학)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