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문헌인 『연려실기술』 별집(別集)이나 『증보문헌비고』 예고(禮考) 등에 따르면 태종 2년(1402)에 명나라 건문제(建文帝)가 사신 반문규(潘文圭)를 보내 구장면복(九章冕服)을 하사하였는데, 이 때 슬롯 꽁 머니곡령도 포함되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슬롯 꽁 머니곡령은 곧바로 착용되지 않았던 듯, 『세종실록』 7년(1425) 12월 경인조에는 왕이 슬롯 꽁 머니곡령을 착용하지 않은 이유를 신하에게 하문하는 대목이 있다. 이어 『세종실록』 8년 1월 병신조에는 지신사 곽존중(郭存中)이, “강사포(絳紗袍)를 입는 데는 슬롯 꽁 머니곡령이 있어야 되지 않겠는가?”라고 하문하였다.
이에 신하들이 “역대 제왕들의 화상들을 보아도 모두 슬롯 꽁 머니곡령이 있었으며, 또 중국에서 보면 관복에도 있었습니다.” 하니 왕이 이때부터 슬롯 꽁 머니곡령을 착용하기 시작했다는 기록이 보인다. 슬롯 꽁 머니곡령은 그 뒤 문무관의 제복과 왕세자의 관복에도 착용되었고, 『세종실록』 12년 12월 신사조에는 악정(樂正)의 붉은 공복(公服)에도 착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렇듯 세종대에 착용되기 시작한 슬롯 꽁 머니곡령은 조선말까지 계속 이어졌다. 한편, 조선시대에는 철저한 계층사회로 복식으로써 그 신분을 나타내고 있었던 만큼 슬롯 꽁 머니곡령도 왕과 신하의 것이 약간 차이가 있었다. 곧 왕과 왕세자가 착용하는 것은 백라(白羅) 슬롯 꽁 머니곡령이었고, 9품 이상 관원이 제복을 입을 때 착용하는 것은 백초(白綃) 슬롯 꽁 머니곡령이었다.
그러나 나나 초는 모두 깁 종류인데다 모양과 빛깔은 같았으므로 육안으로는 거의 차이를 느낄 수 없을 정도였다. 조선시대에 착용되었던 슬롯 꽁 머니곡령의 모양은 『삼재도회(三才圖會)』에 그려져 있는 중국의 것과 달리, 슬롯 꽁 머니이 곡령 아랫부분에 달려 있어 가슴까지 내려오게끔 되어 있었다. 또 양옆에 달려 있는 두 개의 끈은 왼쪽 것은 푸르고 오른쪽 것은 붉다.